서울대 출신 학원 원장이 말한 "초등부터 똑똑한 애들 특징"

조회 147,1542023. 7. 11. 수정

고학년이 되어서도 성적을 잘 받는 학생들의 공통점이 뭔지 아시나요? 새로운 단어와 비문학적인 교과서의 내용도 척척 이해하는 아이들은 어릴 때부터 ‘독서 습관’을 단계별로 잘 쌓아온 아이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여기, 서울대 출신 학원 강사이자 교육 블로그 운영자인 원장 최승민은 아이들의 교육과 최종 목표인 입시를 위해서는 어린 시절부터의 독서가 가장 큰 효과를 발휘한다고 말합니다. 아이가 고학년으로 갈수록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서는 어떤 방식으로 독서를 해야 할까요?


1. 뻔한 이야기가 결국은 정답입니다. "교과서 읽기"의 중요성

이미지 출처 : 유튜브 <원장 최승민>
이미지 출처 : 유튜브 <원장 최승민>
이미지 출처 : 유튜브 <원장 최승민>

아이들이 고학년이 될수록 높은 성적을 받으려면 짧은 시간 내에 제시문을 읽고 주제를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 초등학교 시기에 해야 할 일은 책 읽기를 통해 주제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 입니다. 특히 모든 과목의 기본이 되는 <국어> 교과서를 통해 읽기, 쓰기를 연습해보세요. 뻔한 방법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아이들의 연령과 발달 단계에 따라 쓰인 교과서를 통한 학습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국어> 교과서는 6년 동안 흐름이 비슷합니다. 듣기, 말하기, 일기, 쓰기, 문법의 다섯 가지 영역이 골고루 들어가 있어, 학습 목표에 따른 지문과 문제가 나옵니다. 목표부터 지문, 문제까지 교과서를 소리 내어 읽는 연습을 한 후, 의미를 생각하며 띄어 읽도록 해보세요. 교과서의 구조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교과서를 독해하는 능력 또한 성장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2. 교과서 연계 도서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이미지 출처 : 유튜브 <원장 최승민>
이미지 출처 : 유튜브 <원장 최승민>

학년별 <국어> 교과서에는 수록된 도서가 있습니다. 전체 제시문을 수록하는 때도 있지만, 일부만 싣기도 합니다. 어떤 책을 언제 읽혀야 좋을 지 모를 때에는 교과 도서 목록만 한 좋은 자료가 없습니다. 아이들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독서를 통해 복습과 예습을 할 수 있고, 수업 시간에 교과서에서 자신이 읽어본 책을 만나면 자신감과 흥미를 잃지 않으며 공부를 해나갈 수 있습니다.

교과서에 수록된 도서를 읽을 때 유의해야 할 점은 어느 단원의 어떤 학습 목표에 나왔는지를 확인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2학년 2학기 <국어> 교과서 7단원에는 《거인의 정원》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7단원의 단원명은 <일이 일어난 차례를 살펴요> 이고, 학습 목표는 ‘인물의 모습을 상상하며 이야기를 듣거나 읽고, 일이 일어난 차례대로 말해 봅시다’입니다.

다음으로 아래처럼 책에서 나온 어휘 중 아이가 모르는 어휘를 쭉 적어 국어사전을 보고 뜻을 찾은 뒤, 짧은 글짓기로 연습을 해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몰랐던 어휘들을 엮어 문장을 만들어보면, 아이가 스스로 글을 쓰는 능력 또한 향상 시킬수 있어 서술형 문항에도 어려움을 느끼지 않고 잘 풀어낼 수 있게 될 것입니다.


3. 내 아이의 독서법 점검하는 법

아이의 국어 실력이 잘 늘지 않는다면, 아래 세 가지를 잘 하고 있는지 점검해보는 것도 필요합니다.

첫째, 교과서의 지문을 잘 읽는다.
잘 읽는다는 뜻은 교과서의 학습 목표와 연결하여 읽는 것을 말하죠. 예를 들어 피노키오의 극본을 읽을 때 학습 목표가 "인물의 말을 실감나게 표현하기" 라면 실감나게 표현할 수 있는 말이 있는지 잘 살피며 읽는 것입니다.

둘째, 제시문이나 지문에 대한 질문에 빠뜨리지 않고 대답한다.
국어 단원에 칭찬하는 말과 대답하는 말을 배우고 나서 아이와 그대로 연습해 보면 됩니다. 교과서 읽기 복습은 아이가 교과서에서 쓴 것을 다시 읽고 고쳐보는 것입니다.

세 번째, 이 글의 중심 생각은 무엇인지 어휘의 뜻은 무엇인지 꼼꼼히 확인한다.
아이가 글의 맥락뿐만 아니라 어휘의 뜻을 잘 알고 쓰고 있는지 구분할 줄 알아야 합니다. 단어에 한자어가 포함되어 있다면 동음이의어에 대해 잘 이해하며 문장을 말하거나 쓸 때 단어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한자어를 외우지 않더라도 의미를 파악하려 노력하고 적확히 쓸 줄 알아야 국어 공부의 기초를 쌓을 수 있습니다.

입시와 점점 더 가까워지는 중고등 시기에는 독서를 통해 문해력과 어휘력을 쌓을 시간이 부족합니다. 때문에 초등 시기 학년에 맞는 독서 경험은 매우 중요하죠. 내 아이가 또래보다 어휘력이 부족한 것 같다면 지금이 바로, 아이에게 맞는 전략적인 독서를 시작해야 할 때입니다.


초등 시기의 아이들은 독서를 통한 사고력 향상, 내 생각 표현하기, 어휘력 확장이 필요합니다 . 문제를 푸는 요령 보다는 독서를 통한 글쓰기, 토론 등의 경험이 중요하죠. 아이가 중학생이 되어 글을 읽고 쓰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거부감을 없애는 것을 목표로 삼고 독서 활동의 큰 그림을 그려보세요. 독서를 하며 개념을 이해하고, 독해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제대로 된 독서가 먼저 입니다. 이 때 아이들이 배워야 할 개념이 담긴 교과서부터 차근차근 잘 읽어나가다 보면, 어느새 아이들의 성적은 향상되어 있을 것입니다.



이미지 출처 : 유튜브 <원장 최승민>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