쏘나타, K5 진짜 끝이네.. '1,900만 원' 신차, 출시 예고에 업계 '발칵'

조회 124,1472025. 4. 1. 수정
사진 출처 = 'Cnevpost'

전기차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었던 BYD가 또 한 번 파격적인 신차를 들고나왔다. 중형 전기 세단 ‘e7’을 공개한 것이다. BYD는 최근 수년간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글로벌 EV 점유율을 빠르게 끌어올렸으며, 이번 신차 역시 시장에서 강력한 반향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최근 국내 전기 승용차 시장에 공식 진출한 만큼 국내 출시에 대한 가능성 역시 무시할 수 없다. e7이 국내 출시된다면 EV4, 아이오닉 6 등 전기 세단과 경쟁을 벌일 것으로 전망된다.

공식적으로 ‘중형 순수 전기 세단’으로 분류된 BYD e7은 2024년 1월 중국 공업정보화부 등록을 마치며 출시 준비에 돌입했다. 차량 전장은 4,780mm, 전폭은 1,900mm, 전고는 1,515mm이며 휠베이스는 2,820mm에 달해, 전형적인 중형 세단의 체급을 완전히 갖췄다.

사진 출처 = 'Cnevpost'
전작은 1,900만 원대
이번에도 파격적인가

앞서 동일한 e 시리즈의 모델이었던 e2 Glory Edition은 중국에서 89,800위안(한화 약 1,900만 원)에 출시됐던 이력이 있다. 아직 e7의 공식 판매가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현지 자동차 업계에서는 비슷한 수준의 가격을 유지할 것으로 조심스럽게 예측하고 있다. 만약 실제 판매가도 이 수준에 근접한다면, 경쟁 브랜드는 물론 글로벌 시장 전체에도 적지 않은 충격을 줄 수 있다.

무엇보다 e7은 BYD의 Ocean 시리즈보다 저렴하면서도 체급과 실내 공간에서 우위를 보일 수 있는 모델로 기획된 만큼, 엔트리 EV 세단 시장의 새 기준을 제시할 가능성도 있다. 이 때문에 e7의 최종 출시가는 BYD 자체는 물론 동급 타 브랜드에 미치는 파장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 출처 = 'Cnevpost'
스펙은 충분
시장 경쟁력 있을까

BYD e7은 48kWh와 57.6kWh, 두 가지 용량의 배터리 옵션을 제공한다. 각각의 경우 CLTC 기준 최대 주행거리는 450km, 520km로 책정되어, 일상 주행에서 부족함 없는 실사용 거리를 확보했다. 전작인 e2보다 체급이 커졌지만, 주행거리에서도 충분히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평가다.

배터리는 BYD의 자체 기술력으로 제작되며, 안전성과 효율 모두를 강조한 ‘블레이드 배터리’ 기술이 적용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e7이 단순히 저가형 모델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상품성까지 갖췄다는 점에서, 시장에서는 ‘가성비 EV’의 새로운 기준으로 부각될 가능성도 있다.

현재까지 BYD는 해당 모델의 정확한 판매 일정이나 가격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실제 양산이 임박한 상황이다. 여기에 BYD가 공격적으로 해외 시장 진출을 진행 중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 모델이 중국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도 투입될 가능성은 결코 낮지 않다. 국내 도입 가능성은 미지수지만, 이 가격에 이만한 전기 세단이라면 소비자들의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