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마지막 금통위 D-2, 금리인상 뒤에 '숨어있는 3가지'(종합)
1. 내년 1%대 성장률 하향 여부
2. 7일 위원 만장일치 결정인가
3. 최종금리 3.75%로 올라가나
시장, 금통위 결정배경 더 촉각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 "기준금리보다는 한국은행이 제시할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주목해야 한다."
금융투자업계가 오는 24일 예정된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를 바라보는 시각이다. 금통위를 이틀 앞둔 현재 한은이 이번 금통위에서 베이비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밟으며 6회 연속 인상 행보를 이어갈 것이란 분석이 우세하다. 당초 빅스텝(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과 베이비스텝의 팽팽한 접전이 예상됐지만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금리 인상 속도 조절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원·달러 환율이 진정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의 물가 전망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이달 4.2%로 10월(4.3%)보다 0.1%포인트 하락 전환했다. 레고랜드 사태로 단기자금시장이 경색되면서 금융안정 확보가 한은의 주요 과제로 떠오른 점도 베이비스텝 전망을 기정사실화한 배경이다.
◆내년 1%대 성장률 공식화되나= 금통위의 통화정책 결정과 함께 한은 조사국이 발표할 수정 경제 전망치가 시장의 최대 관심사로 부상한 것도 그래서다. 금융투자업계는 내년 대내외 경제 여건이 녹록지 않으면서 한은도 다른 기관처럼 내년 성장률을 1%대로 하향 조정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한은은 지난 8월 내년 성장률과 소비자물가(CPI)를 각각 2.1%, 3.7%로 전망한 바 있다. 이후 지난달 금통위 때부터 내년 전망치를 이보다 낮출 것을 예고했다. 한은이 오는 24일 열리는 금통위 후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잠재성장률(2%)보다 낮은 1%대로 공식화하고, 경기 침체로 판단할지가 관건이다. 금통위의 의사 결정이 한은의 경제 전망치를 토대로 이뤄지는 만큼 최종금리 수준과도 밀접하게 연관될 수밖에 없다. 강민주 ING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 가격 하락과 그간 금리 인상이 누적, 높은 이자부담률이 소비감소로 나타나면서 한은이 이달 베이비스텝을 밟고 내년 1분기 중 추가 베이비스텝을 마지막으로 금리 인상 사이클을 마무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채권전문가 70% "베이비스텝"= 이번 금통위서 0.25%포인트 기준금리 인상이 7인 금통위원의 만장일치로 결정될 것인가도 시장의 관심을 끄는 대목이다. 지난 4월부터 이어진 5회 연속의 금리 인상 행보 속 만장일치 결정이 나오지 않은 회의는 직전이었던 10월 한 번뿐이었다. 0.5%포인트 인상을 결정했던 10월 금통위 당시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중 4명은 빅스텝, 2명(주상영·신성환)은 베이비스텝 소수의견을 냈다. 매파(통화 긴축 선호)로 분류되는 서영경·박기영 위원도 최근 금리 인상 속도조절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나섰다. 이창용 한은 총재 역시 "금융안정 유지, 특히 비은행 부문에서의 금융안정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며 힘을 실었다. 문홍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단기금리에 연동된 대출이 워낙 많아 선진국 대비 속도조절 필요성이 커진 데다 폭증한 가계부채와 부동산 붕괴 등 부작용이 우려돼 금리인상 폭 조절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 11∼16일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100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0%는 이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인상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내년 세계경기 둔화 여파로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하향 조정되면서 급격한 금리 인상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확산되고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최근 주요 투자은행(IB), 국제통화기금(IMF) 등 분석을 토대로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이 2.3%에 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0.1%), 코로나 사태가 발생한 2020년(-3%)을 제외하면 최근 2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에 일각에선 경제 성장세 둔화를 우려한 일부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의 동결 소수 의견도 나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격차 더 벌어진 한미 금리차= 금통위 후 이 총재가 밝힐 최종금리 수준에 대한 시장의 관심도 높다. 현재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IB)의 미국 정책금리 고점 전망치는 최소 4.75%에서 최대 5.75%로, 시장에서는 한은의 최종금리도 기존 3.5%에서 3.75% 수준으로 올라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한은에서는 내년 통화정책을 좌우할 주요 변수로 미 Fed의 긴축 강도, 에너지 가격, 원·달러 환율, 국내 금융상황 등을 꼽았다. 국제유가는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오정석 국제금융센터 전문위원은 "내년 국제 원유시장 핵심 키워드는 공급차질 우려, 석유제품 쇼티지(부족현상) 문제, 통화정책 및 달러의 피벗(입장선회) 기대, 원유재고 부족, 지정학적 불안 등 5가지로 이 모든 부분이 상방 압력으로 작용해 내년 상반기 말이나 하반기에는 유가가 세자릿수로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성유리 "억울하다" 했지만…남편 안성현, '코인상장뒷돈' 실형 위기 - 아시아경제
- "결혼해도 물장사할거야?"…카페하는 여친에 비수꽂은 남친 어머니 - 아시아경제
- "37억 신혼집 해줬는데 불륜에 공금 유용"…트리플스타 전 부인 폭로 - 아시아경제
- "밤마다 희생자들 귀신 나타나"…교도관이 전한 '살인마' 유영철 근황 - 아시아경제
- '814억 사기' 한국 걸그룹 출신 태국 유튜버…도피 2년만에 덜미 - 아시아경제
- "일본인 패주고 싶다" 日 여배우, 자국서 십자포화 맞자 결국 - 아시아경제
- "전우들 시체 밑에서 살았다"…유일한 생존 北 병사 추정 영상 확산 - 아시아경제
- "머스크, 빈말 아니었네"…김예지, 국내 첫 테슬라 앰배서더 선정 - 아시아경제
- "고3 제자와 외도안했다"는 아내…꽁초까지 주워 DNA 검사한 남편 - 아시아경제
- "가자, 중국인!"…이강인에 인종차별 PSG팬 '영구 강퇴'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