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취업 늘었지만…55~64세 고용 부진은 ‘여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령층 취업자 수가 올해 들어 민간 부문을 중심으로 38만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는 21일 열린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전담반(TF) 회의에서 '연령대별 고령자 고용현황 분석'을 발표하면서 올해 10월까지 60세 이상 누적 취업자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만2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공공일자리가 집중된 보건복지·공공행정 분야의 임시직을 제외한 취업자 수 증가분이 전체의 88.6%(33만8000명)였다는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연금도 일자리도 없는 ‘예비 노인’
고령층 취업자 수가 올해 들어 민간 부문을 중심으로 38만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은퇴를 앞둔 55~64세 ‘예비 노인’의 고용률은 여전히 주요 선진국 대비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는 21일 열린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전담반(TF) 회의에서 ‘연령대별 고령자 고용현황 분석’을 발표하면서 올해 10월까지 60세 이상 누적 취업자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만2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고용률도 지난해 44.5%에서 올해 45.6%로 1.1% 포인트 상승했다. 가장 많은 취업자가 증가한 산업은 보건복지(8만1000명 증가) 분야였다. 제조업(5만7000명), 도소매업(3만9000명) 취업자가 뒤를 이었다.
정부는 민간 부문이 고용률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공공일자리가 집중된 보건복지·공공행정 분야의 임시직을 제외한 취업자 수 증가분이 전체의 88.6%(33만8000명)였다는 것이다. 증가분 중 96.6%(36만9000명)가 주 36시간 이상 취업자라는 점도 강조했다.
문제는 고령층보다 젊은 ‘예비 노인’의 고용 상황이다. 지난해 한국의 노인(65세 이상) 고용률은 36.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가장 높았다. 반면 55~64세 고용률은 68.8%로 독일(73.3%)과 일본(78.1%)에 비해 크게 뒤처졌다. 아직 연금을 받기 전인 연령대에서 수입이 끊기는 인구가 많다는 뜻이다.
고령 취업자 대부분이 농림어업·보건복지 등 일부 업종에 집중돼 있다는 점도 한계로 지적된다. 고령 취업자 중 농림어업 부문의 비중은 24.7%로 일본(11.6%)의 두 배가 넘는다. 보건복지(16.4%) 비중도 일본(11.4%)보다 5.0% 포인트 많다. 반면 제조업·건설업·도소매 분야 취업자는 모두 합쳐도 18.0%에 불과하다.
정부는 일자리를 원하는 고령층이 다양한 산업군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최근 조사에서는 일하는 즐거움에 일자리를 구하는 노인도 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세종=이의재 기자 sentinel@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픈AI 직원 90% “올트먼 복귀 안하면 우리도 떠난다”
- “주식 매수 적기” JYP 말 한마디에 가파른 급등
- 내년 집값 “불황형 안정세”… “수도권 매매 1% 안팎 제한”
- “라운딩 도중 음란물 보며 캐디 추행”…80대 前은행장
- 초과근무 중 SNS에 ‘맥주 인증샷’ 올린 공무원, 견책 처분
- 지드래곤, 모발 이어 손·발톱도 ‘마약 음성’ 판정
- [단독] “언젠가 죽인다”… 尹정부, ‘악성민원’ 뿌리뽑는다
- 수능 만점자 13년 만에 ‘0명’ 관측…“킬러 없어도 불수능”
- 최강욱 “암컷 설친다”…김기현 “민주당 막말, 사회악 수준”
- ‘만취 벤츠 맘’ 김포서 역주행 사고… 10대 딸도 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