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발 관세 폭탄, 삼성·애플 '초 비상'…스마트폰 시장, 지각 변동 오나

미국 스마트폰 시장, 하이엔드 중심 '뜨거운 감자'…삼성·애플, 관세 충격 현실화되나
삼성, 베트남 생산 비중 절반…애플, 인도 생산 확대에도 중국 의존도 여전히 '고위험'
[한국에 25% 상호관세를 발표하는 트럼프 대통령/이포커스PG]

[이포커스 곽경호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포함한 주요 국가에 25%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삼성전자와 애플은 이번 관세 정책으로 인해 미국 시장에서 가격 인상과 판매량 감소라는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에 휩싸였다. 반면 중국 업체들은 이번 기회를 발판 삼아 미국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2024년 미국 스마트폰 출하량은 1억 2,800만 대로 전 세계 시장의 10.4%를 차지했다. 특히 미국 시장은 프리미엄 스마트폰 수요가 높아 글로벌 평균을 크게 웃도는 높은 평균 판매 가격(ASP)을 기록하고 있다. 삼성과 애플에게는 중요한 시장인 셈이다.

삼성전자는 2024년 2억 2,300만 대의 스마트폰을 출하했는데 이 중 13%가 미국향이다. 고가 프리미엄폰 '갤럭시 S 시리즈'와 폴더블폰의 경우 미국향 비중은 각각 27%, 20%로 더욱 높다. 전체 생산량 중 베트남이 약 50%, 인도가 30%를 차지하는 반면 국내 생산 비중은 8%에 불과하다.

애플은 2024년 2억 3,200만 대의 스마트폰을 출하했으며 미국 시장의 비중이 28%로 가장 높다. 생산 거점은 중국이 86%, 인도가 14%로 중국 의존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맥, 애플워치, 에어팟 등 다른 제품은 베트남을 중심으로 생산하고 있다.

[갤럭시 스튜디오]

관세 폭탄에 삼성·애플 '동반 타격'…가격 인상, 판매 부진, 공급망 불안 '트리플 악재'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관세 조치는 삼성과 애플의 주력 생산 기지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가격 상승으로 인한 미국 시장 내 판매 부진, 생산 비용 증가에 따른 수익성 악화, 공급망 불안정 등 심각한 악재가 겹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중국산 아이폰에 관세를 면제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오면서 삼성전자가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애플스토어/이포커스DB]

샤오미, 오포, 화웨이 등 중국 업체 '점유율 확대' 노린다

관세 폭탄은 국내 부품사에게는 제한적인 영향만 줄 것으로 보인다. 화웨이, 오포, 비보, 샤오미, 아너 등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은 미국 시장에 직접적인 제품을 수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미국 시장에서 삼성과 애플의 입지가 약화될 경우 샤오미, 오포 등 중국 업체들이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메리츠증권 양승수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아직 구체적인 시행 일정이나 대상 품목 등이 확정되지 않은 만큼, 섣부른 전망은 위험할 수 있다"며 "기업들은 향후 전개될 미국 정부의 정책 방향과 시장 상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선제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곽경호 기자 kkh@e-focus.co.kr

#트럼프상호관세 #삼성전자 #애플

Copyright © 이포커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