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증권, 수익성 부진·부동산금융 부실화로 신용등급 하향

/사진 제공=SK증권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나이스신용평가 등 신용평가 3사가 수익성 부진, 부동산금융 부실 등을 이유로 SK증권의 신용등급을 하향조정했다.

한신평은 11일 SK증권의 파생결합사채(ELB, DLB) 신용등급을 'A(부정적)'에서 'A-(안정적)으로, 후순위사채 신용등급을 'A-(부정적)'에서 'BBB+(안정적)'으로, 기업어음 및 단기사채 신용등급을 'A2+'에서 'A2'로 하향했다.

한기평은 SK증권의 기업신용등급 및 파생결합사채 신용등급을 'A(부정적)'에서 'A-(안정적)'로, 후순위사채 신용등급을 'A-(부정적)'에서 'BBB+(안정적)'로, 기업어음 및 전자단기사채 신용등급을 'A2+'에서 'A2'로 조정했다.

나이스신평은 SK증권의 장단기 신용등급을 'A(부정적)'에서 'A-(안정적)', A2로 하향조정했다.

신평사들은 SK증권의 신용등급 하향 원인으로 수익성 악화, 부동산금융 부실화를 꼽았다.

SK증권은 자기자본 1조원 미만 중소형사 중 가장 많은 인력과 지점을 보유해 고정비 부담이 큰 데 반해 주요 사업 부문의 이익창출력은 약화됐다.

중형 증권사가 평균 10여개 내외의 영업 지점을 둔 데 반해 SK증권의 국내 지점은 그보다 약 2배 많은 25개에 달한다.

특히 SK증권은 최근 2개 분기 연속 손실을 냈다. 분기 영업적자는 지난 2023년 4분기 191억원, 올해 1분기에는 192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적자를 낸 데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채권 관련 대손비용 인식이 영향을 미쳤다. 2023년에는 391억원, 올 1분기에는 170억원을 적용했다. 부동산 PF 관련 충당금 역시 444억원을 설정했다.

대형 증권사 위주로 투자중개시장 구조가 재편되며 영업순수익 중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투자중개 부문 시장 점유율이 2019년 1.8%에서 2023년 말에는 1.3%까지 하락했다.

기업금융(IB) 부문은 부동산금융 채무보증, 사모펀드(PEF) 출자 등 장기투자를 병행해왔으나 올 1분기 들어 PF 시장 및 기업금융 위축으로 실적부진이 심화됐다. 2023년 1분기 299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던 IB 부문은 올 1분기 11억원으로 급감했다.

SK증권은 또 지난해 하반기부터 부동산금융의 건전성이 크게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3월 말 기준 요주의이하자산 2411억원 중 부동산금융 관련 금액이 2127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사업성이 떨어진 브리지론의 정리 가능성이 커지고 있고 분양 성과가 미진한 분양형 본PF의 경우 중·후순위 포지션의 비중이 높아 신평사들은 건전성 저하 지속 및 추가 충당금 발생 확률이 높다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해 SK증권은 체질 개선을 위해 임직원 수를 2022년 말 966명에서 올해 3월 말 882명으로 점진적으로 줄이고 정보기술(IT) 비용과 기타투자를 감축했다.

그러나 유동성 위험은 제한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이는 PF 유동화 시장 경색으로 증권사 단기조달시장까지 얼어붙었던 2022년 4분기에 SK증권이 2700억원의 6개월물 기업어음(CP) 조달에 성공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