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슐린 저항성 낮추는 네 가지 습관

조회 1,8192024. 10. 31. 수정

당뇨병은 인슐린과 관련이 있는데요. 인슐린은 아미노산의 흡수를 증가시켜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고 지방 대사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면 고지혈증, 지방간, 고혈압 같은 만성질환이 유발됩니다. 인슐린 저항성은 유전적 영향이 있기는 하지만 더 중요한 원인은 운동 부족, 비만, 잘못된 식습관과 같은 생활습관에 있는데요. 가정의학과 의사가 말하는 인슐린 저항성 낮추는 네 가지 습관을 정책주간지 'K-공감'에서 확인하세요.

성인병 부르는 인슐린 저항성
낮추는 네 가지 습관

“아직 젊은 나이인데 당뇨 전단계라는 진단을 받았어요. 당뇨병 발병에 유전적인 영향도 있다던데 저희 아버지도 당뇨로 오래 고생했거든요. 어떻게 관리하면 병의 진행을 막을 수 있을까요?”

33세 아영 씨는 정기적으로 받는 건강검진에서 당뇨 전단계라는 진단을 받고 체계적인 관리를 받고자 내원했습니다. 당뇨병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 있는 아영 씨에게 “당뇨 전단계란 말 그대로 발병하기 전이라는 뜻이기 때문에 건강관리만 잘해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안심시키는 동시에 “인슐린 저항성을 낮추는 습관을 생활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인슐린 저항성을 낮춰야 한다는 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슐린이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인슐린은 우리가 빵·떡·면·과당 같은 탄수화물 음식을 많이 먹으면 췌장에서 분비되는 물질입니다. 혈액 중 높아진 혈당을 낮춰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지 않도록 조절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인슐린은 간세포에 명령을 내려 우선 사용할 당을 글리코겐으로 저장시키고 남은 당은 혈중에 돌아다니며 해를 끼치지 않도록 지방세포로 저장시킵니다.

문제는 탄수화물을 많이 자주 섭취할 때 발생합니다. 인슐린이 너무 자주 출동하면 세포가 더 이상 인슐린의 말을 듣지 않는 인슐린 저항성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몸은 높아진 혈당을 낮추기 위해 더 많은 인슐린을 분비하게 됩니다. 늘어난 인슐린은 렙틴 같은 식탐 억제 호르몬의 활동을 방해하기 때문에 더 많은 당이 포함된 음식을 먹게 되는 악순환이 시작됩니다.

그뿐 아니라 인슐린은 아미노산의 흡수를 증가시켜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고 지방 대사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때문에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면 고지혈증, 지방간, 고혈압 같은 만성질환이 줄줄이 유발되는 것입니다. 종종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지방간 같은 만성질환은 모두 인슐린 저항성이라는 같은 뿌리에서 열리는 열매”라고 설명하는 이유입니다.

인슐린 저항성은 유전적 영향이 있기는 하지만 더 중요한 원인은 운동 부족, 비만, 잘못된 식습관과 같은 생활습관에 있습니다. 따라서 만성질환으로 이어지는 열차에 탑승하지 않기 위해서는 인슐린 저항성을 낮추는 생활습관 수칙을 지켜 혈당을 관리하는 일이 필요합니다. 나는 아영 씨에게 다음과 같은 규칙을 알려줬습니다.

첫째, 빵·떡·면·백미 등과 과당이 포함된 음료수를 줄이세요.
둘째, 기름이 많이 낀 육류, 몸에 해로운 지방을 포함한 음식을 피하세요.
셋째, 음식을 먹은 후 혈당 상승 정도를 나타내는 혈당지수(GI)에 관해 공부하고 GI가 높은 음식보다 낮은 음식 위주로 식단을 짜세요.
넷째, 허벅지나 엉덩이 같은 큰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도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출처 : 이미지투데이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