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달래 꽃이 피었습니다"..팬데믹 위로하는 봄빛 향연

김석 2021. 4. 26. 06:5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봄을 대표하는 우리 꽃, 바로 진달래죠.

바구니 한가득 화사한 진달래가 그림 속으로 들어왔습니다.

코로나 때문에 선뜻 바깥 나들이하기도 힘든 요즘, 답답한 일상을 위로하는 따뜻한 진달래 그림 만나러 전시장으로 함께 떠나보시죠.

김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햇살 따사로운 봄날, 온 산을 맑고 투명한 분홍빛으로 물들이는 봄의 전령사, 진달래.

눈부시게 고운 진달래 꽃잎이 바구니에 수북이 담겨 화폭에 들어왔습니다.

진달래 꽃송이들이 빚어내는 색채의 향연.

보는 사람의 마음도 어느새 봄빛으로 물들어갑니다.

진달래 그림만 그려온 지도 어느덧 20여 년.

물감을 바르고 말렸다가 또 덧바르길 반복하며, 어머니를 향한 애틋한 기억을 꽃송이에 새겼습니다.

[김정수/화가 : "제가 이제 가출을 했을 때 어머님께서 굉장히 야단을 칠 줄 알았어요. 제가 중학교 3학년 때인데. 그런데 제 손을 잡고 뒷동산에 올라가시는 거예요. 올라가시면서 그 꽃을 이렇게 보여주시는데 그 꽃이 진달래꽃이었어요. 근데 그 꽃을 보여주면서 수야, 너무 조급해하지 말라고. 너는 아직 어리니까 시간이 되면 이렇게 예쁘게 꽃이 필 거다. 너도 이렇게 필 거다 이런 말씀을 하시는 거예요."]

하늘에서 내리는 진달래 꽃 비.

모니터 안에서 살아 움직이는 진달래 꽃송이는 그림과는 또 다른 감흥을 선사합니다.

화가 스스로 작품에 붙인 제목 '진달래 - 축복.'

춥고 배고팠던 시절, 어머니가 넉넉하게 담아 주시던 고봉밥의 추억을 떠올리게 합니다.

[김정수/화가 : "그림 보시고 좀 이렇게 포만감도 느끼시고 어머님의 사랑을 듬뿍 받아서 또 새롭게 이렇게 다시 이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는 그런 메시지를 저도 전달하고 싶어요."]

화창한 봄날에도 꽃 구경조차 마음껏 할 수 없는 갑갑한 일상에 건네는 화가의 선물입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촬영기자:김연태/영상편집:김근환/문자그래픽:기연지

김석 기자 (stone21@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뉴스의 포스트 beta

  • 대한민국 미술가 열전(53) 김정수 편 어떤 이는 이렇게 말할지도 모릅니다. 맨날 똑같은 진달래만 반복해서 그리는데, 저기서 어떤 의미를 찾을 수 있겠느냐고. 사실 그동안 수많은 미술가의 수많은 작품을 취재해 뉴스로 소개해 왔지만, 김정수 작가를 소개한 뉴스만큼 여기저기서 반응이 뜨거웠던 적이 없습니다. 소쿠리에 수북하게 쌓인 진달래는 내 자식 배부르게 먹으라고 밥그릇에 넘치도록 담은 고봉밥을 떠올리게 합니다. 그것은 곧 어머니의 마음입니다. 그림이라는 게, 예술이라는 게 뭘까요. 그림을 보면서 어린 시절 따뜻했던 어머니와의 추억, 가난해도 행복했던 소중한 기억을 떠올릴 수 있다면 그 그림은 세상 어느 유명한 화가의 명작보다 감상자에게 더 큰 의미가 될 겁니다. 그것이 바로 그림의 힘, 예술의 힘입니다.

    메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