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스 vs 다이슨 드라이기 비교
아마도 헤어 드라이기를 보유하지 않은 가정은 거의 없으리라. 머리를 감은 후 젖은 머리를 수건으로만 말리는 것은 쉽지 않고 시간도 오래 걸리기 때문에 대부분 타월 드라잉 후 헤어 드라이기를 이용해 남은 수분을 말려준다. 이처럼 대다수의 가정에 하나씩은 가지고 있을 드라이기도 천차만별인데, 만 원에도 미치지 않는 제품부터 100만 원을 훌쩍 넘기는 제품까지 정말 다양하다. 특히 수 년 전부터 고가의 헤어 드라이기가 큰 인기를 얻기 시작했는데, 그 중심에는 다이슨 슈퍼소닉 헤어드라이어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처럼 고가에 고성능을 갖춘 다이슨의 아성에 도전하는 제품들도 늘고 있는데, 픽스 파워소닉 헤어드라이기 XHS-702도 최근 출시되어 가성비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다이슨의 경쟁 제품 중 하나이다. 오늘은 다이슨 슈퍼소닉 헤어드라이어와 픽스 파워소닉 헤어드라이기 XHS-702를 비교해 서로 어떤 공통점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보았다.
다이슨 슈퍼소닉 헤어드라이어 | www.dyson.co.kr
픽스 파워소닉 헤어드라이기 | www.fix.co.kr
디자인과 크기, 무게는?
2016년 처음 출시된 다이슨 슈퍼소닉 헤어드라이어는 손잡이와 몸통이 ㄱ자 형태로 된 기존의 헤어 드라이기 디자인에서 탈피한 T자형의 독특한 외형으로 유명하다. 픽스 파워소닉 헤어드라이기 역시 요즘 헤어드라이기의 최신 유행 스타일인 T자형의 디자인을 채택하고 있는데, 크기는 다이슨이 약 97x78x245mm, 픽스가 약 97x70x260mm로 전체 길이는 픽스가 조금 더 길고 헤드의 직경은 다이슨이 좀 더 크다.
두 모델 모두 일명 ‘망치’ 모양의 T자 디자인을 취하고 있지만, 헤드 부분에서 큰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이슨 슈퍼소닉의 경우 헤드 중앙이 완전히 뚫린 형태이지만, 픽스 파워소닉은 헤드 뒷면이 완전히 막혀있고 앞면에 송풍구가 뚫려있는 형태이다.
ㄱ자형의 드라이기는 대부분 모터가 헤드 부분에 내장되어있는 것과는 달리 T자형의 다이슨 슈퍼소닉과 픽스 파워소닉은 소형화된 고성능 모터가 손잡이 부분에 내장되어 있으며, 손잡이 제일 끝부분에 공기 흡입구가 있다. 두 모델 모두 공기 흡입구를 분리해서 안쪽의 미세필터에 쌓인 먼지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데, 다이슨의 경우 공기 흡입구를 살짝 돌려서 분리하거나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했으며, 픽스의 경우 마그네틱 방식을 적용해 좀 더 편리하게 필터 커버를 여닫을 수 있다.
케이블의 경우 두 모델 모두 피복이 두껍게 처리된 내연성 케이블을 사용했으며, 케이블의 길이는 1.7m인 픽스보다 1.8m인 다이슨이 10cm 가량 더 길다. 다만 케이블을 묶어서 정리하는 실리콘 코드 밴드는 픽스 제품에만 제공되고 있다. 매일 사용하는 기기이니만큼 매번 케이블을 정리해 묶어두지 않기 때문에 코드 밴드가 필요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여행이나 출장을 위해 챙길 때에는 상당히 유용하다.
크기는 엇비슷하지만, 무게는 제법 차이가 난다. 다이슨 슈퍼소닉의 무게는 약 660g이며, 픽스 파워소닉은 약 390g으로 다이슨에 비해 40% 가량 가볍다. 헤어 드라이기는 한 손으로 들고 사용하는 만큼 무게가 무거울수록 손목과 어깨에 무리가 갈 수 있다. 헤드와 손잡이 부분의 무게 밸런스는 두 제품 모두 잘 잡혀 있다.
기능의 차이, 사용 편의성은?
이제 기능과 사용 편의성을 확인해볼 차례다. 다이슨 슈퍼소닉 헤어드라이어는 손잡이에 스위치와 버튼이 하나씩 있으며, 헤드 뒷부분에도 두 개의 버튼이 있다. 손잡이에 있는 스위치는 전원을 켜고 끄는 용도이며, 버튼은 누르고 있는 동안 찬바람으로 전환되는 콜드샷 버튼이다. 헤드 뒷면에 있는 두 개의 버튼은 풍속 조절 버튼과 온도 조절 버튼으로, 3단계 풍속과 4단계 온도조절이 가능하다.
픽스 파워소닉 헤어드라이기의 경우 손잡이 부분에 스위치 하나와 버튼 하나가 있는데, 스위치를 이용해 2단계 풍속 조절을 하고 버튼을 이용해 3단계 온도 조절을 할 수 있다. 스위치 하나와 버튼 하나로 모든 기능을 컨트롤할 수 있어서 편의성은 픽스 파워소닉이 다이슨 슈퍼소닉보다 좀 더 높다고 할 수 있으며, 풍속과 온도조절의 단계는 다이슨 슈퍼소닉이 픽스 파워소닉보다 한 단계씩 더 세밀하게 지원하고 있어서 좀 더 유리하다.
설정된 풍속과 온도의 표시는 다이슨 슈퍼소닉의 경우 풍속 버튼과 온도 버튼 옆에 LED로 표시해주며, 픽스 파워소닉의 경우 헤드의 뒷면에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설정 온도와 풍속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픽스 파워소닉에는 3단계 온도조절 이외에 또 하나의 온도 설정 기능이 제공되는데, 냉풍과 온풍이 계속 번갈아 작동되는 순환 모드이다. 냉온풍 순환모드는 모발과 두피의 자극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드라이기의 성능을 가늠할 수 있는 모터 회전수는 두 모델 모두 110,000rpm으로 동일하며, 소비전력 역시 고사양에 비해 저전력으로 설계된 1600W로 동일하다. 또한 모발의 정전기 발생을 줄여주고 차분하게 만들어주는 음이온 케어 기능도 두 모델 모두 동일하게 지원하고 있다.
소음과 바람 세기 측정
이번에는 간단하게나마 다이슨 슈퍼소닉과 픽스 파워소닉의 성능을 비교해보았다. 우선 소음을 측정해보았는데, 드라이기 본체 헤드로부터 약 30cm 떨어진 대각선 방향에 스마트폰을 설치해두고 소음 측정 앱을 통해 데시벨을 측정했다.
측정값의 최소값과 최대값은 큰 의미가 없고, 평균값을 보면 된다. 드라이기를 작동시키기 전의 대기 상태에서는 27.3dB로 측정되고 있는 상황이다.
다이슨 슈퍼소닉은 3단 풍속 조절을 지원하기 때문에 세 가지 풍속의 소음을 측정했는데, 1단계에서는 평균 70.9dB, 2단계에서는 평균 72.5dB, 3단계에서는 평균 73.5dB로 측정되었다.
픽스 파워소닉은 2단 풍속 조절을 지원하기 때문에 두 가지 풍속의 소음을 측정했는데, 1단계에서는 평균 73.8dB, 2단계에서는 74.1dB로 나타났다. 즉, 최대값이 아주 큰 차이가 나지는 않지만 다이슨 슈퍼소닉의 3단계와 픽스 파워소닉의 1단계가 비슷한 수준으로 측정되어서 소음의 경우 다이슨이 조금 더 정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에는 바람의 세기를 확인해볼 차례다. 먼저 동일한 위치에 드라이기를 설치한 뒤 멀리 떨어져 있는 커튼을 향해 바람을 불어서 커튼의 움직임을 살펴보았다. 소음이 좀 더 높은 만큼 바람의 세기가 더 강한 걸까? 다이슨의 3단 풍속 설정보다 픽스의 2단 풍속 설정 시 커튼의 펄럭임이 더 크게 보인다.
▲ 다이슨 슈퍼소닉 바람 세기 측정
▲ 픽스 파워소닉 바람 세기 측정
이번에는 좀 더 정확한 바람의 세기를 확인해보기 위해 테이블 위에 골프공을 올려두고 드라이기를 작동시켜 보았다. 공과 드라이기의 거리는 약 1m로, 다이슨 슈퍼소닉의 경우 3단까지 올렸을 때 공이 살짝 흔들리기는 하지만 굴리는 것엔 실패했다. 반면 픽스 파워소닉의 경우 1단에서는 움직이지 않았지만 풍속을 2단으로 높이니 골프공이 바로 움직이며 테이블에서 굴러 떨어졌다. 거리를 80cm 가량으로 좁혔을 때는 다이슨의 경우도 3단에서 골프공을 굴리는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바람의 세기는 다이슨 슈퍼소닉보다 픽스 파워소닉이 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 다이슨 슈퍼소닉 바람 세기 측정
▲ 픽스 파워소닉 바람 세기 측정
대동소이한 외형과 성능, 가장 큰 차이점은 가격과 직관적 디스플레이
지금까지 다이슨 슈퍼소닉 헤어드라이어와 픽스 파워소닉 헤어드라이기의 디자인과 특징, 기능을 살펴보았다. 두 기기 모두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다이슨 슈퍼소닉의 경우 3단계의 풍속조절과 3단계의 온도조절 기능으로 조절 범위가 더 넓은 것과 소음이 상대적으로 더 적은 것을 장점으로 들 수 있다. 픽스 파워소닉의 경우 상대적으로 무게가 더 가볍고, 디스플레이로 직관적인 설정 확인이 가능하며, 두 개의 버튼으로 모든 기능을 컨트롤할 수 있다는 것과 더 강한 풍속을 장점으로 들 수 있겠다.
여기에서 빼놓을 수 없는 또 하나의 차이점이 있는데, 바로 구매비용이다. 다이슨 슈퍼소닉은 시장가 4~50만원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픽스 파워소닉은 10만원대의 판매가격으로 금액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브랜드 인지도나 충성도 측면에서는 다이슨을 넘볼 수 있는 브랜드를 찾기 어렵겠지만, 큰 차이 없는 성능이라는 조건에서 본다면 실용성 측면에서 픽스 파워소닉으로 기우는 소비자들이 상당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과연 여러분의 선택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