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인' 김황태, 장애인 트라이애슬론 컵 동메달…파리행 성큼

김효경 2024. 5. 19. 12:2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트라이애슬론 국가대표 김황태. 사진 대한장애인체육회

'철인' 김황태(47·인천시장애인체육회)가 장애인 세계 트라이애슬컵 동메달을 따냈다. 파리패럴림픽 출전 가능성도 높아졌다.

김황태는 18일(현지시간)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서 열린 장애인 트라이애슬론 스포츠등급 PTS3 경기에서 1시간 11분 48초의 기록으로 막스 겔하르(1시간 3분 14초·독일), 빅토르 체보타레프(1시간 5분 13초·러시아 출신 개인중립선수)에 이어 3위에 올랐다.

패럴림픽 트라이애슬론 종목은 세계랭킹과 별도로 출전권 랭킹을 별도로 집계한다. 김황태는 이번 대회 입상으로 패럴림픽 랭킹 포인트 385.03점을 추가해 총점 1211.77점으로 패럴림픽 랭킹 9위로 뛰어올랐다. 2024 파리 패럴림픽 출전권은 7월 1일 기준 랭킹 상위 9위 안에 든 선수의 국가에 부여한다.

대한장애인체육회는 "김황태가 다음 달 세 차례 국제대회에 더 출전해 패럴림픽 포인트를 쌓을 예정"이라며 "김황태가 9위 안에 들면 7월 2일 국내 선발전을 열 계획"이라고 전했다. 국내 최강자인 김황태는 선발전에서 우승할 가능성이 높다.

김황태는 2000년 전선 가설 작업을 하다 고압선 감전 사고로 양팔을 절단하는 중증장애를 입었다. 1년 동안 술에 빠져 비관하던 그는 달리기를 통해 새로운 인생을 시작했다. 달리기를 시작한 지 2년 만인 2002년 마라톤 42.195㎞ 풀코스를 처음 완주했다. 2015년엔 서브3(2시간 55분 19초)도 달성했다.

이후 그는 패럴림픽 출전이라는 꿈을 안고 노르딕스키와 태권도에 도전했으나 이루지는 못했다. 하지만 파리 패럴림픽에서 중대한 근육 손상 및 절단 선수를 위한 PTS3등급이 채택되자, 트라이애슬론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사이클 20㎞, 수영 750m, 육상 5㎞를 달리는 종목이다. 김황태는 의수를 낀 채 자전거를 몰고, 발과 허리의 힘으로 헤엄친다. 경쟁자들보다 늦게 출발했지만, 어느새 파리패럴림픽이 눈 앞으로 다가왔다.

김효경 기자 kaypubb@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