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웠던 모델, '이 약' 먹고 얼굴 돌변… 태국 30대 여성에게 무슨 일이?

이해나 기자 2024. 9. 19. 19: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항생제 알레르기 반응으로 피부가 벗겨지고 왼쪽 눈까지 실명한 태국 30대 여성의 사연이 소개됐다.

지난 16일(현지시각) 미국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태국에 사는 사시난 추엔로상(31)은 지난 6월에 목이 아프고 눈이 충혈되는 증상을 겪어 방콕의 한 병원을 찾았다.

추엔로상은 "현재 나의 상태는 내 이전 일상의 삶을 완전히 파괴했다"고 말했다.

스티븐 존슨 증후군의 50% 이상은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때문에 발생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해외토픽
태국에서 모델로 활동하던 사시난 추엔로상(31)은 스티븐 존슨 증후군으로 피부 탈락, 실명 등을 겪으며 모델이었던 과거의 삶을 빼앗겼다고 했다./사진=뉴욕포스트 캡처
항생제 알레르기 반응으로 피부가 벗겨지고 왼쪽 눈까지 실명한 태국 30대 여성의 사연이 소개됐다.

지난 16일(현지시각) 미국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태국에 사는 사시난 추엔로상(31)은 지난 6월에 목이 아프고 눈이 충혈되는 증상을 겪어 방콕의 한 병원을 찾았다. 의사는 그의 증상을 편도선염이라 진단하고 세프트리악손이라는 항생제를 처방했다. 하지만 증상은 오히려 악화됐다. 약을 먹은 후 그는 발진이 생겼고, 시야가 흐려지며, 몸이 부어올라 걷는 것조차 힘들어졌다. 이후 다시 병원을 찾았고 의사는 수두를 의심하며 같은 약을 한 번 더 처방했다. 하지만 발진은 더욱 심해지고 심지어 왼쪽 눈 시력까지 떨어져 실명 상태가 됐다. 그는 결국 중환자실로 옮겨졌고, 의료진은 다시 한번 세프트리악손을 투여했다. 하지만 어지럼증이 더 심해졌고 이번에는 오른쪽 눈 시야까지 흐려졌다. 그는 7일 동안 중환자실에 입원한 후 다른 병원으로 옮겨졌고, 그제서야 '스티븐 존슨 증후군' 진단을 받았다. 추엔로상은 현재까지도 치료를 받고 있다. 발진 때문에 긴 머리를 잘라야 했으며 눈과 입 주변, 이마, 뺨에 상처가 생겼다. 얼굴에서 흘러내리는 피와 고름을 닦기 위해 거즈로 목을 항상 감싸고 있다. 추엔로상은 "현재 나의 상태는 내 이전 일상의 삶을 완전히 파괴했다"고 말했다. 그의 일상을 빼앗아버린 스티븐 존슨 증후군은 무엇일까?

사시난 추엔로상(31)​이 스티븐 존슨 증후군 치료를 위해 입원해 있는 모습./사진=뉴욕포스트 캡처
스티븐 존슨 증후군은 피부의 탈락을 유발하는 심각한 급성 피부 점막 전신 질환이다. 이 질환에 걸리면 초반에는 고열이나 눈이 따가운 증상을 겪는다. 이후 질환이 진행되면서 피부에 붉은 자국과 물집이 생기고 점막에도 물집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심할 경우 전신의 피부가 벗겨지기도 한다. 그리고 주요 병변 위치에 따라 호흡기관에 나타나면 호흡곤란을 겪을 수 있고, 배뇨기관에 생기면 배뇨곤란을 겪을 위험이 있다.

스티븐 존슨 증후군의 50% 이상은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때문에 발생한다. 통풍치료제인 알로퓨리놀(allopurinol), 항염증제인 설파살라진(sulfasalazine) 등이 이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외에도 악성 종양, 바이러스 질환, 급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이식을 받은 후 이식된 T림프구가 환자의 세포를 비자기로 인식해 공격하는 질환) 등에 의해 발병할 수 있다. 스티븐 존슨 증후군은 매년 100만 명 중 1~2명꼴로 발병하는 희귀 질환이다.

스티븐 존슨 증후군을 치료할 때는 원인이 되는 약물을 파악해 사용을 멈추는 게 우선이다. 이 질환은 진행될수록 ▲피부에 영구적인 손상이 생기거나 ▲감염으로 인해 패혈증이 생기거나 ▲호흡기관의 기능이 저하돼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에 질환의 악화를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만약 표피가 심하게 벗겨지면 화상과 거의 유사한 방법으로 치료한다. 수분 및 전해질의 균형을 유지하고, 괴사 조직을 제거해 이차 감염을 예방하는 식이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