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사상 최대 '빚더미'…이자 시한폭탄 '째깍째깍'
실수요 대출은 증가세 지속
가계빚이 사상 최대치인 1870조원을 돌파하며 우리 경제에 경고등이 켜졌다. 고금리에 따른 가계대출 감소로 증가폭은 둔화됐으나, 실수요 대출을 중심으로 증가세는 여전한 상황이다. 내년 경기침체가 본격화 된 가운데 금융부실 폭탄이 터질 수 있다는 우려다. 가계부채 부담은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올해 3분기 말 국내 가계신용 잔액(가계대출+판매신용)이 1870조6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2조2000억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역대 최대치로 가계신용은 2013년 2분기 이후 38분기 연속 전분기 대비 증가 흐름을 이어오고 있다. 다만 전년 대비 증감률은 지난해 3분기 이후 지속 하락하면서 역대 최소치를 나타났다. 올해 1~3분기 누적 가계신용은 1년 전 같은 기간 대비 7조7000억원 증가하는데 그쳤다.
가계신용 증가세 둔화는 가계신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계대출이 고금리에 감소했기 때문이다. 3분기 가계대출 잔액은 3000억원 줄어든 1756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감소폭은 역대 두번째로, 전년 동기 대비 11조8000억원(0.7%) 늘어나며 역대 최소 증가폭을 나타냈다. 주담대 증가폭은 줄어들고 기타대출은 감소세를 이어간 영향이다.
판매신용은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민간소비 증가세 지속으로 전분기 대비 2조5000억원 증가한 113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역대 최대 규모다. 한은은 2020년 저금리 기조로 폭증했던 가계신용이 올해 들어 비교적 안정적 흐름을 이어가는 것으로 평했다. 그러나 이같은 기조가 더 이어갈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2분기 명목 국내총생산 대비로 봤을 때 3분기 가계신용 비율은 88% 정도로 추산된다.
박창현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향후 가계신용의 흐름에 있어서는 증감요인이 혼재돼 있다”며 “정부가 일부 주담대 규제를 풀고,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에 대한 대출 태도를 완화한 것은 증가 요인이나, 대출금리 상승세 지속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등 주요 규제가 유지되는 점은 제한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연말 대출금리 8% 시대
가계부채 증가세가 한 풀 꺾인것은 반가운 소식이지만, 고금리 행진 속 경제부실 뇌관이 될 것이라는 걱정은 변함이 없다. 가계신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계대출 잔액은 1756조를 넘긴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은 역대 최대치인 1007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증가폭(6조5000억원)은 전분기(8조7000억원) 대비 다소 줄었으나, 주담대의 약 80%가 금리 상승에 노출되는 변동금리 차주임을 고려하면 이자 부담이 심화될 전망이다.
특히 전세대출과 집단대출 증가세는 지속되는 것이 염려스러운 대목이다. 박 팀장은 가계대출 주담대 증가 확대 배경에 대해 “개별 주담대는 주택 시장 위축에 따른 매수 심리 약화로 부진했지만, 집단대출과 전세자금 대출 수요 증가 영향이 지속됐다”고 분석했다.
문제는 기준금리와 주요국 고강도 긴축정책에 따른 시장금리 급등으로 대출금리가 연 8%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4년만으로 금리인상 기조는 내년까지 계속되는 가운데, 주담대 금리가 9%를 넘어 10%에 이를 수 있다는 암울한 전망마저 나온다.
지난 18일 기준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연 5.28~7.80%까지 올랐다. 이들 은행의 변동형 금리 상단은 지난해 6월 중순까지만 해도 연 3.99% 수준이었다. 불과 1년 5개월만에 상단 금리는 8%에 근접, 하단금리는 5%를 넘겼다. 신용대출, 전세대출 금리 역시 비슷한 수준까지 오를 것으로 보인다. 이자 부담만 2배가 훌쩍 뛸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지난해 수억원씩 대출을 받아 집을 산 영끌족이나 취약계층이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는 우려다.
실제 OECD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한국의 가처분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6.6%로 26개국 주요국 가운데 5등을 차지했다. 쉽게 말하면 우리 가계가 평균적으로 지고 있는 부채는 2년치 벌어놓은 돈을 다 쏟아부어야 갚을 수 있다는 수준이다. 이같은 높은 수준의 가계부채는 5%대의 고물가, 고금리, 통화긴축 기조와 맞물려 우리 경제 취약성을 더욱 부각시키는 요인으로 자리잡았다.
1871조 규모의 가계 빚은 당장 오는 24일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결정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채권 시장은 레고랜드 사태로 자금 경색 우려가 커진 가운데, 막대한 가계부채에 따른 이자 부담 등으로 한은이 빅스텝(기준금리를 0.5%포인트(p)인상)이 아닌 베이비스텝(기준금리 0.25%p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이렇게 되면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격차는 1%p에서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분기 가계신용 1869조4천억...1분기 만에 증가 전환
- 3분기 가계부채 1871조 ‘사상최대’...전분기비 2조↑
- 이복현 금감원장 "가계부채 대응 절실하지 못했다...금융당국 대표해 송구"
- “새로운 지원 창구”…예술인 NFT, ‘수익’에만 머물지 않는 역할
- [조남대의 은퇴일기⑬] 어느 휴일의 오후
- 정진석 "윤 대통령, 명태균이 경선 룰 간섭해 매몰차게 끊었다"
- 與, '돈봉투 살포' 윤관석 징역형에 "민주당, 쩐당대회 진실 고백하라"
- 주진우 "5월 29일 산 연어로 6월 18일에 술파티를?…이재명, 거짓은 그만"
- 15세 이용가에 이 내용이?…독자들도 놀라는 수위 [아슬아슬 웹툰·웹소설①]
- ‘이강인 인종차별’ PSG 팬, 서포터스 그룹서 영구 퇴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