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생산 4위지만 미분양 무덤이죠” 상황 심각하다는 지역

조회 22,0642025. 3. 29.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뉴스 1

경기도, 미분양 상승폭 가장 높아
경기도 내 미분양 상승폭 평택 1위
평택시, GRDP 도내 4위

경기 평택시 지역 내 총생산(GRDP)이 40조 원을 초과하면서 전국 4위를 달성한 가운데 평택시가 경기도 내 미분양 상승폭 1위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미분양 물량을 보유한 지역은 경기도인 것으로 확인됐다.

27일 부동산 리서치업체 부동산 R114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국 미분양 물량은 7만 173 가구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6만 2,489 가구였던 전년(2023년) 같은 기간 대비 7,684 가구 상승한 수치다. 전국의 미분양 물량 중 경기도에서 가장 높은 미분양 상승폭을 보인 것으로 드러났다.

출처 : 뉴스 1

경기도의 미분양 물량은 2023년 5,803 가구에서 지난해 1만 2,954 가구로 7,151 가구가 증가했다. 해당 수치는 전국에서 가장 큰 폭의 미분양 상승폭이며, 전국 17개 시도 지역 중 2,000 가구 이상 증가한 것은 경기도밖에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역별 미분양 상승률을 살펴보면 경기 남부 지역의 중심으로 미분양이 증가했으며, 이에 반해 북부 지역은 비교적 미분양을 잘 해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도 내에서는 평택시의 미분양 상승폭이 가장 컸다. 지난 2023년 430 가구였던 미분양 물량이 지난해 4,071 가구로 조사되며 3,641 가구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업계에서는 평택은 최근 미분양 관리 지역으로 지정되며 신규 공급이 줄어들 전망이기 때문에 올해에는 미분양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어 이천 1,908 가구, 오산 994 가구, 광주 676 가구, 광명 356 가구 등 한강 이남 지역들이 차지했다. 전국에서 가장 높은 미분양 감소폭을 보인 지역은 의정부인 것으로 드러났다.

출처 : 뉴스 1

2023년 말 896 가구였던 의정부의 미분양은 지난해 말 540 가구로 356 가구가 감소해 전국에서 미분양이 가장 많이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의정부는 지난해 총 5개 단지, 1,178 가구가 신규 분양해 5개 단지 모두 1순위 청약에서 1 배수를 채우지 못하는 수치를 보였다. 하지만 이후 꾸준히 계약을 성사하며 미분양 물량을 감소시킨 것으로 전해진다.

의정부와 인접한 양주 역시 941 가구에서 730 가구로 211 가구가 줄어 전국에서 3번째로 미분양이 많이 줄어들었다.

의정부와 양주를 포함해 김포 314 가구, 화성 130 가구, 연천 91 가구, 용인 72 가구, 동두천 41 가구, 남양주 36 가구, 성남 29 가구 등의 순서로 미분양이 감소했다.

출처 : 뉴스 1

평택시의 지역 내 총생산은 부동산 상황과 반대로 높게 나타났다. GRDP란 일정 기간 일정 지역에서 창출된 최종 생산물 가치의 합을 뜻하는 경제지표를 의미하며, 각 도시의 경제구조나 규모를 파악할 때 사용된다.

경기도 평택시의 지역 내 총생산이 40조 원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도내 31개 시군 가운데 네 번째로 높은 수치다.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는 도내 2위를 차지하며 높은 수준을 자랑했다.

국가통계포털의 ‘경기도 시군 단위 GRDP’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경기도의 명목 GRDP는 587조 3,285억 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시군별로 살펴보면 화성시 95조 1,507억 원, 성남시 56조 5,855억 원, 수원시 40조 9,588억 원, 평택시 40조 9,016억 원, 용인시 37조 6,595억 원 등의 순서로 높았다.

출처 : 뉴스 1

한편, 평택시의 경제가 활성화될 것으로 파악된다, 팽성에서 포승을 잇는 평택호 횡단 도로 전체 구간을 공사가 19년 만에 준공되었기 때문이다.

시는 26일 평택호 횡단 도로 준공식을 열고 평택호 횡단 도로가 총연장 11.69㎞ 규모의 왕복 4차로라고 전했다. 해당 사업에는 총 3,127억 원(국비 2,667억, 도비 15억, 시비 445억) 수준의 사업비가 사용됐다.

정장선 평택시장은 “평택호 횡단 도로의 개통으로 평택은 물론, 경기 남부 지역의 차량 흐름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이를 통해 지역 간 교류가 확대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이야기했다.


이 콘텐츠는 카카오의 운영 지침을 준수합니다.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