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해도 될까요?” 선택의 기준은… [아미랑]

기고자/이병욱 박사(대암클리닉 원장) 2024. 10. 10. 08:5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당신께 보내는 편지>
이병욱 박사의 작품
암 환자들은 암 진단을 받은 후, 본인이 어떤 암에 걸렸으며, 그 암이 어떻게 진행될지 등에 대해 궁금해 합니다. ‘암은 몇 종류가 되는지’ ‘오래 살 수 있는 확률은 얼마나 되는지’ ‘암세포가 갑자기 퍼지면 어떡하는지’ 같은 것들을 항상 물어보십니다. 이때, 저는 환자가 궁금해 하는 것들은 충분히 설명해 줍니다. 그 후, 다음과 같이 말하곤 하죠.

“암은 인간의 모든 장기, 피부, 상피세포 등 살아 있는 조직 어디에서든지 생깁니다. 머리카락, 손발톱, 치아를 제외 한 모든 장기에서 생길 수 있고, 혈액과 뼈에도 생깁니다. 암은 약 270여 종이 있습니다. 생기는 모양이나 크기, 환경 등 모든 게 다 다르다는 것을 고려하면, 세계 인구와 동일한 70억~100억 가지의 암이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제일 흔하게 발생하며 제가 가장 많이 집도한 ‘위암’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위암은 환자마다 생기는 위치, 모양, 크기, 조직 분화도, 발생 원인이 다릅니다. 발병 원인이 다르다면 당연히 사람마다 치료법도 달라져야 하는 게 아닐까요? 맞습니다. 획일적인 치료 시스템으로 환자를 치료하는 것은 모순이죠. 같은 위암이라고 할지언정, 그 치료는 환자의 여건에 따라 달라져야 합니다. 보호자의 태도, 환자의 나이·상태·의지 등을 충분히 고려해 환자에게 맞는 ‘맞춤 치료’가 돼야 합니다. 사실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사람은 의사가 아니라 환자여야 합니다.

“죽으면 죽었지, 약물 치료는 더 이상 못 하겠습니다. 죽더라도 편안하게 생을 마감하고 싶습니다. 항암 치료는 사는 게 아닙니다.”

갓 예순을 넘긴 교수 환자가 한 말입니다. 평균 연령에 미뤄보면 요즘 예순은 청춘이나 다를 바 없지만, 그는 삶에 대한 욕심을 버렸습니다. 약물 치료 부작용에 대해서 잘 인지하고 있었으며 치료로 고통을 겪으며 진통제에 의지해서 사느니, 짧게 살더라도 편안하게 살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그런 그에게 저는 약물 치료를 하면 메스꺼움·구토·설사·탈모·빈혈과 같은 부작용이 올 수 있지만, 치료를 하지 않는다면 병기가 더 빨리 진행될 수 있다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 환자는 제 권유로 약물 치료를 시작했지만, 딱 한 사이클을 받고는 약물 치료를 그만뒀습니다. 대신 면역력을 키워 암과 공존하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결과적으로 그의 선택은 옳았습니다. 환자가 현재 자신의 삶에 만족하기 때문이죠. 그 환자는 3년 가까이 건강 상태가 잘 유지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대로만 유지된다면 서운하지 않게 사는 것이라고 그는 말합니다.

반대로 수술을 선택한 환자의 예시를 들려드리겠습니다. 당시 그는 간암 4기로, 얼굴이 검게 변해 흑달이 온 상태였습니다. 이미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었던 것입니다. 몇 달 치료를 받으면서 상태가 호전되자 그는 수술을 고집하며 과욕을 부렸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간암 수술을 가장 잘한다는 분이면 수술이 가능할 것이라며, 수술 날짜도 잡았다고 합니다.

“한 번 더 생각해 보세요. 현 상태로 수술을 하는 건 의미가 없습니다. 이미 간에만 두 군데 암세포가 있고 크기도 12cm로 상당히 커, 수술이 많이 어렵습니다. 무엇보다, 몸 상태가 좋지 않아 수술을 견디기 쉽지 않아 보입니다.”

제 조언에도 불구하고, 환자는 수술을 강행했습니다. 결과는 예상대로였습니다. 개복해 보니, 이미 손을 쓸 수 없는 복막암종증 상태로, 암세포가 전이된 림프절만 제거한 뒤 다시 봉합했습니다. 그 환자는 수술 후유증으로 몇 개월이나 고생하고, 수술 후 쇠약해진 몸을 추스르지 못해 크게 고생했습니다. 뒤늦게 ‘수술을 하지 말라고 말릴 때 듣는 건데’라며 후회했지만 이미 엎질러진 물이었습니다.

어떤 관점으로 보면, 인체의 면역 방어막을 인위적으로 깨는 가장 극단적인 방법이 바로 ‘수술’입니다. 인체의 방어막을 깨뜨리더라도 수술을 함으로써 얻게 되는 이익이 더 크다면, 수술을 강행하는 게 맞습니다. 반대로 수술 후 조기 사망 등 부작용이 훨씬 크다면, 수술을 포기하는 편이 낫겠지요. 위에 언급한 환자의 경우에도 수술하는 것과 하지 않는 것이 1대 99 혹은 10대 90 정도로 수술을 하지 않는 편이 나았지만 욕심을 부린 것입니다. 얼마나 살고 싶었을지, 그 마음이 이해가 가기에 더 안타까웠습니다.

암을 치료하다 보면, 어려운 선택의 문제에 직면할 때가 많습니다. 그럴 때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의사든 환자든 ‘겸손함’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수술을 잘할 것이라는 의사의 오만, 오래 살고 싶다는 환자의 욕심이 가끔 화를 부릅니다. 반면 최선을 다해 감사하고 남은 시간을 성실하게 살겠다는 겸손함은 복이 되기도 합니다.

선택의 순간에는 누구나 과욕을 떨쳐버리고 경계해야 합니다. 결코 쉬운 일이 아니죠. 하지만 잘못된 선택으로 인해 치르는 대가가 너무 크기에,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겁니다.

오늘도 사랑하고, 축복합니다!

✔ 외롭고 힘드시죠?
암 환자 지친 마음 달래는 힐링 편지부터, 극복한 이들의 노하우까지!
포털에서 '아미랑'을 검색하시면, 암 뉴스레터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