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수원역사 영화관, CGV 가고 메가박스 온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수원역사 영화관의 주인이 CGV에서 메가박스로 바뀐다.
CGV 관계자는 "CGV 수원 영업을 다음 달 7일을 끝으로 종료한다"고 26일 전했다.
그러나 지난해 AK플라자가 진행한 수원역사 영화관 운영사업자 입찰에서 메가박스에 밀려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지 못했다.
수원에서 네 지점(영통·수원·수원남문·수원호매실)을 운영 중인 메가박스는 새 지점을 거점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메가박스 새 지점 하반기 첫선
수원역사 영화관의 주인이 CGV에서 메가박스로 바뀐다. CGV 관계자는 "CGV 수원 영업을 다음 달 7일을 끝으로 종료한다"고 26일 전했다.
CGV 수원은 유동 인구가 많은 시가지 한복판에 자리해 지난 20년 동안 높은 매출을 기록했다. CGV는 장기적 안목으로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보기 드물게 특수상영관을 세 곳(아이맥스·4DX·스크린X) 조성했고, 2015년 리뉴얼 공사도 진행했다. 그러나 지난해 AK플라자가 진행한 수원역사 영화관 운영사업자 입찰에서 메가박스에 밀려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지 못했다. AK플라자 관계자는 "메가박스가 훨씬 더 좋은 조건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메가박스 새 지점은 올 하반기에 들어설 예정이다. 아직 계약은 마무리되지 않았다. AK플라자 관계자는 "메가박스 측과 임대 기간 등 세부 사안을 협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원에서 네 지점(영통·수원·수원남문·수원호매실)을 운영 중인 메가박스는 새 지점을 거점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주변 지역은 물론 경기 남부권의 문화적 수준을 한 단계 높일 계획이다. 메가박스 관계자는 "아직 특수상영관(돌비시네마) 설치 등 구체적 활용방안을 정하진 않았다"면서도 "지역사회에 새로운 문화적 활기를 불어넣겠다"고 말했다.
수원역은 경기도에서 유동 인구(하루 평균 11만3000명)가 가장 많은 곳이다.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개통될 GTX-A·C 노선 등으로 더 많은 인파가 몰릴 수 있다고 예측된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일본 여행 필수코스인데 '경악'…전 매장 나흘간 폐쇄 '위생 점검' - 아시아경제
- 건강했던 20대 돌연 사망…원인은 자주 마셨던 '이 음료' 때문이었다 - 아시아경제
- 국민연금 657만원 내고 1억 수령…이준석 "폰지사기와 다를 바 없어" - 아시아경제
- 팔팔 끓여도 안 죽네…봄철, 배달음식 잘못 먹으면 큰일 난다 - 아시아경제
- "매일 새벽에 나와" "짬 버리고 있더라"…산불 현장서 닷새째 출근하는 원희룡 - 아시아경제
- 자연산 새우 썼다던 백종원 덮죽…논란 일자 뒤늦게 수정 - 아시아경제
- "이대로 가면 다 죽어"…14명 자녀 머스크, 또 저출산 한국 소환 - 아시아경제
- 살짝 부딪혀놓고 "입원했어요" 이제 못할 수도…보험업계서 준비중인 연구 - 아시아경제
- 직원은 1억, 이사는 19억 찍었다…제약·바이오 '연봉킹'은 이곳 - 아시아경제
-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인터뷰]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