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MS 2인자 정조은 손목에만 1.7억" 돈은 어디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독교복음선교회(JMS) 정명석의 '후계자' 또는 '실세'로 알려진 정조은이 그간 고가의 사치품을 착용해온 사실이 재차 조명되고 있다.
원글을 작성한 카페 회원 A씨는 "지난해 말에 정조은의 비리를 폭로하다가 지금은 사라진 익명 유튜버가 있다. 정조은의 거액의 차명 자산, 명품, 비자금 등에 대한 증거와 함께 의혹을 제기해 카페에서도 관심이 높았었다. 가장 직관적으로 와닿았던 명품 관련 사진들을 캡처해뒀다"면서 정조은이 그간 착용한 제품을 공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책상 위엔 면담비·후원금 등 돈봉투"
내부서 논란 일자 정씨 "다 짝퉁이다"
기독교복음선교회(JMS) 정명석의 '후계자' 또는 '실세'로 알려진 정조은이 그간 고가의 사치품을 착용해온 사실이 재차 조명되고 있다.
지난 1월 JMS 피해자 모임인 '가나안(JMS를 떠나 예수님의 품으로)' 카페에 올라왔던 정조은의 '명품리스트'가 최근 온라인커뮤니티에 '끌올'(다시 게시)돼 퍼지고 있다.
JMS 2인자인 정조은은 정명석의 성 착취에 가담한 것이 아니냐는 혐의를 받고 있다.
원글을 작성한 카페 회원 A씨는 "지난해 말에 정조은의 비리를 폭로하다가 지금은 사라진 익명 유튜버가 있다. 정조은의 거액의 차명 자산, 명품, 비자금 등에 대한 증거와 함께 의혹을 제기해 카페에서도 관심이 높았었다. 가장 직관적으로 와닿았던 명품 관련 사진들을 캡처해뒀다"면서 정조은이 그간 착용한 제품을 공개했다.
목록을 보면 정씨는 평소 까르띠에, 돌체앤가바나, 디올, 미우미우, 버버리 등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원대 명품 옷, 시계, 가방 등을 착용해왔다. 반클리프 아펠 시계는 무려 1억6800만원에 달한다.
작성자는 정조은의 자금 출처에 대해 "생일날 책상 위에 쌓이는 전국 교회에서 걷힌 무수히 많은 돈 봉투들, 개인 면담을 위해 준비해야 하는 200~1000만원의 면담료, 해외에서 들어오는 회계 처리되지 않는 돈 봉투들, 거액의 행사 후원금"이라고 했다.
A씨는 "정조은의 사치나 화려함은 예외라는 어리석은 생각에서 벗어나 진실을 깨닫는 데 도움 되시길 바란다"고 했다.
정조은은 당시 해당 논란을 인지하고 자신이 착용한 것은 '짝퉁'이라고 해명한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글에는 "짝퉁이었다고 천 떼다 만들었다고 해명했다던데 그렇게 살고 싶냐", "아직 JMS에 있는 분 만났는데 정조은 목사가 짝퉁이라고 다 해명했다면서 그걸 믿더라" 등 댓글이 달렸다.
정조은은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나는 신이다'가 정 총재의 성폭행 범죄를 폭로하자 지난 12일 예배에서 자신은 여신도들이 정 총재 근처로 가지 못하도록 막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피해자들은 자신을 정 총재 방으로 데려간 장본인이 정조은의 최측근이었다며 정조은 역시 성폭행 사실을 알고 있었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집들이 온 친구남편은 성추행·불법촬영…남편은 친구와 불륜 '경악' - 아시아경제
- "살면서 가장 큰 고통 느꼈다"…日 성인배우에 무슨 일이 - 아시아경제
- "얼굴이 세 배 커졌어"…멕시코 유명 여배우 충격 근황 - 아시아경제
- 네덜란드 '홍등가'에 때아닌 여성 홀로그램…이런 슬픈 사연이 - 아시아경제
- "깔보고 떠넘기는 사람 많다면…당신 회사는 썩고 있다" - 아시아경제
- "트럼프 2기, 관세 인상 땐 '오일 쇼크'급 충격…전 세계 물가 더 오른다"[인터뷰] - 아시아경제
- 외투 입다가 짬뽕 그릇 '퍽'…엉망된 벽보고 말도 없이 '쌩' - 아시아경제
- '단돈 12만 원 때문에'..서산 승용차 운전자 살인 범행 경위 '충격' - 아시아경제
- 15분 일찍 왔으니 먼저 간다는 신입사원…지적하니 "꼰대 아줌마" - 아시아경제
- "흑인이 왜 백인 아이 낳았냐" 의심커지자 친모 결국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