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리 복리 차이 계산방법

조회 2702025. 2. 25.

[단리 복리 차이 계산방법]

예적금을 알아볼 때 단리 복리로 계산한다는 말을 들어보셨을거예요.

단리는 무엇이고 복리는 무엇인지, 어떤 차이가 있고 계산은 어떻게 하는지 아주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사실 재테크가 처음이고 돈을 불리고 싶다면 꼭 알아둬야 할 금융의 기본 개념이기 때문이죠.

단리 뜻 & 계산법

'단' 자는 홀 單 를 쓰는데요. 한마디로 단순한 이자라는 뜻이죠. 단리는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를 계산을 하는거예요.

계산법을 보면서 이해하도록 하죠.

1)원금 100만원을 만기 1년, 연 이율 3% 단리 예금에 넣었다면?

계산하기 쉽게 세전으로 알아보죠.

--> 이자는 100만원 x 3% = 3만원(세전)

1년 뒤 만기엔 원금과 이자를 합해 103만원(세전)을 받아요.

2)똑같은 조건인 원금 100만원 연 이율 3% 만기 2년이라면?

이자는 100만원 x 3% x 2년 = 6만원

2년 뒤 만기에 106 만원 (세전)을 받게 됩니다.

참고

단리 이자 계산법

이자=원금 x 연이율 x 기간

복리 뜻 & 계산법

'복' 자는 '중복' 할 때 쓰는 다시 復 자를 쓰는데요. 쉽게 말하면 또 주는 이자라는 거죠. 복리는 원금에 붙은 이자의 이자까지! 계산을 해요.

복리는 20세기 가장 위대한 발견이다

복리의 마법을 믿어라

이런 말 들어보셨죠?

그만큼 복리의 위력이 대단하는 건데요.

한번 계산을 해보죠!

1) 원금 100만원을 만기 1년, 연 이율 3% 연복리 예금에 넣었다면,

이자는 100만원 x 3%인 = 3만원

1년 뒤 만기에 원금과 이자를 합해 103만원(세전)을 받을 수 있어요.

여기까지는 단리복리 차이가 없이 같은데요. 시간이 길어질수록 복리의 마법은 진가를 발휘하죠.

2)똑같은 조건에 만기 2년이라면?

-->이자는

앞 1년동안 생긴 이자 3만원, 뒤 1년동안 103만원 x 3% x 1년(=3만 900원)

이렇게 해서 총 6만 900원이 됩니다.

이렇게 복리는 1년 동안 원금에 붙은 이자를 합한 금액 (103만원)을 다음 1년의 원금으로 보고 이자를 계산하는데요. 2년이 아니라 10년 20년이 된다면 돈은 엄청나게 불어나겠죠!!

그래서 복리의 마법이라고 하는건가 봅니다.

단리 복리 차이가 크네요.

복리의 효과를 누리려면?

1)만약 단리 예금을 들었다면 만기에 받은 원금 + 이자를 고스란히 다시 예금에 들어보세요.

이걸 계속 반복하면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답니다.

2)적금을 들었다면?

요즘 유행하는 풍차돌리기로 원금과 같은 이자를 다시 새 적금에 든다면 복리 효과를 누릴수 있겠죠.!

요즘 카카오뱅크 26주 적금으로 풍자돌리기 많이 하더라고요.

저도 한번 도전해볼까 합니다.

오늘은 단리 복리 차이점과 계산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쉽게 이해하셨을거예요.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타임톡
타임톡이 제공되지 않아요

해당 콘텐츠뷰의 타임톡 서비스는
파트너사 정책에 따라 제공되지 않습니다.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