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면 눈물 나오는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최악의 법정 재판 사건

영화 <행복의 나라> 기자간담회
추창민 감독, 조정석, 유재명 배우 참석

8월 6일 용산 CGV에서 <행복의 나라>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현장에는 추창민 감독, 조정석, 유재명 배우가 참석했다.

<행복의 나라>는 1979년 10월 26일, 상관의 명령에 따랐지만 대통령 암살 사건에 연루된 ‘박태주(이선균)’와 그의 변호를 맡으며 대한민국 최악의 정치 재판에 뛰어든 변호사 ‘정인후(조정석)’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1979년 10. 26과 12.12 사태 사이를 다룬 실화답게 두 사건 사이를 이어주는 다리가 되어주는 영화다. 아무래도 먼저 개봉한 <서울의 봄>이 연상된다. 현장에는 <서울의 봄>과 실존 인물의 차이점을 묻는 질문이 이어졌다.

추창민 감독은 “이미 <서울의 봄> 개봉 전 편집이 끝난 상태라 영향받지 않았다.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 장군 역할이겠다. 특정인을 가리키기보다는 그 시대의 야만성을 표현하기 위해 유재명 배우가 부단히 노력했다”며 “연기를 자연스럽게 끌어내기 위해 먹는 장면이 유리하다고 생각해 자주 넣었다. 마지막에 전상두와 박태주가 소주잔을 기울이면서 대화하는 장면은 의도한 건 아니지만 두 배우의 연기로 자연스러운 시퀀스가 탄생했다”고 말했다.

“거시적인 큰 사건보다는 미시적인 개인의 숨겨진 이야기, 희생된 사람들에 호기심이 생겼다”며 제작 이유를 말하며 “실존 인물 박흥주에서 시작된 이야기라기보다 10.26과 12.12에서 파생된 인물을 찾던 중 박흥주 대령을 중심으로 하고 싶다고 생각했다. 변호인단과 정인후는 가공된 인물이기 때문에 다큐처럼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라며 강조했다.

덧붙여 “박흥주라는 인물이 원전이 되었다. 인간으로서 훌륭한 사람이었고 이념을 떠난 참군인, 성실한 가장이라 모티브 삼기 좋았다. 좌우 진영을 떠나 올바른 사람이었기에 데려왔다”고 밝혔다.


영화는 인물의 심리묘사와 얼굴 클로즈업이 잦다. 특히 정인후가 박태주과 실제 겪은 사건을 직접 현장 검증하는 장면에서 교차편집의 묘미를 느낄 수 있다.

추창민 감독은 “시대적 분위기를 위해 필름의 질감을 내고 싶어 기술적인 연출과 감정을 디테일하게 잡을 수 있도록 신경 썼다”며 “지켜보는 정인후, 당시 상황에 빠져들었던 박태주, 박태주의 진짜 속마음과 교차하도록 편집했다. 헷갈릴 수 있겠지만 고집했던 이유는 현실적으로 끝나 버렸으면 했던 박태주와 그 모습을 지켜보는 정인후. 이 둘이 현실에서 박태주의 시퀀스와 맞물리도록 했다”고 말했다.

인물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조정석은 “정인후는 만들어진 인물이다. 그의 시점을 통해 이야기에 빠져들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이라고 생각했다. 최대한 객관적으로 시퀀스에 접근하도록 했지만 저도 사람이다 보니, 감정에 북받치는 순간에서 선 넘지 않게 조절하려고 노력했다”고 연기 주안점을 설명했다.

이어 “정인후는 법정 싸움에서 누구보다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사람이다. 승부가 중요했던 그가 점차 불리해지면서 재판에 앞서 마지막으로 시도할 수 있는 상황이 전상두와 골프장 신이다. 박태주를 살리기 위한 생각만 했던 것 같다. 아마 저라도 그랬을 거다. 인간 정인후의 모습으로 인간의 존엄성에 대해서 울분을 토해내고 싶었던 장면이다”라며 전상두와 골프장의 처절했던 순간을 설명했다.

유재명은 “전상두 개인의 야망을 드러낼 수 있는 시간이 많지 않았다. 박태주와 정인후 중심의 이야기라서 저는 환경을 지배하는 권력의 상징으로서 인물 묘사에 중점 두었다”며 절제 있게 표현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배우 유재명과 실존 인물 사이의 색다른 간극을 체험했다. 사람을 바라보는 눈의 광기, 가만히 머금는 조소, 고개는 끄덕이지만 부정하는 고갯짓의 뉘앙스 등 섬세한 디테일을 찾으려고 했다. 그러다 보니 작품의 결을 찾아가는 저를 발견하며 집중할 수 있었다”고 캐릭터 해석을 더했다.

영화는 법정 영화, 시대극으로서의 특징도 있다. 레퍼런스 삼은 작품을 묻자 추창민 감독은 “어느 작가가 책 한 권을 쓰기 위해 만권의 책을 읽는다는 말하더라. 특정 영화를 보기보다는 관련된 수많은 영화를 참조하는 쪽을 택했다. <12명의 성난 사람들> 등 그 시대의 재판 장면을 담은 작품을 참고했다”며 “법정 고증에 따라 사실적인 모습을 보여주려 했다. 군사 법정은 생소한 장소라 상상력보다는 현실적으로 다가갔다. 변호인단, 검찰단, 판사 숫자 일치에 중점 두었다”며 고증에 신경 쓴 부분을 강조했다.

영화는 이선균의 또 다른 유작으로 조명 받고 있다. 인물 개인사와 겹치면서 영화 속 대사가 마음을 찌른다. 조정석은 “이선균 형과 제가 한편이고 유재명 형님과 적대적인 관계 설정으로 나오지만 현장에서는 삼형제처럼 즐겁게 촬영했다. 좋은 형이었고 연기할 때만큼은 열정이 넘쳤으며 따뜻했던 사람이다. 함께하게 되어 지금도 좋고 행복하다”며 이선균과의 추억을 곱씹었다.


유재명은 “스크린으로 보는 내내 오롯이 보기 힘든 경험이었다. 특히 ‘자네에게 진 빚이 많아’라는 이선균 대사와 얼굴을 클로즈업 장면과 ‘너는 좋은 변호사다’라는 대사가 꼭 ‘정석이 너는 좋은 배우다’라고 하는 것 같이 들렸고 조정석 배우 표정에서 ‘형 도!’라고 말하는 듯했다”라며 진중하게 대답했다. “며칠 전 우연히 들은 라디오의 오프닝 멘트에서 ‘영화는 다시 찾아볼 수 있지만 사람은 다시 찾아볼 수 없다’는 말이 인상적이었다. 이 영화를 통해 이선균을 다시 찾아볼 수 있을 것 같다. 힘들었지만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며 함께했던 시간을 떠올렸다.

한편, <행복의 나라>는 오는 8월 14일 개봉을 앞두고 있다.


글& 사진 : 장혜령

행복의 나라
감독
출연
전배수,송영규,최원영,강말금,박훈,이현균,진기주,유성주,김법래
평점
2.75
damovie2019@gmail.com(오타 신고/제보 및 보도자료)
저작권자 ⓒ 필 더 무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