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흙이라는 재료를 통해 ‘전통작업’과 ‘현대작업’을 동시에 하고 있으며, 두 작업 방식을 통해 유기적으로 ‘한국의 미’를 작품 안에 담고자 노력하는 도예 작가이다. 나에게 ‘한국적 미’란 단순하고 절제되어 있으며, 너그러움과 자연 친화적인 요소를 품고 있는 아름다움을 뜻한다.
‘전통작업’으로는 조선의 역사와 선비의 정신을 품고 있는 ‘달항아리’를 대표적으로 제작하고, ‘현대작업’으로는 도자의 재료적 물성을 통한 ‘도자 드로잉’으로 인간의 현 시대적 감정과 속성을 도자 표면에 그려내고 있다. 우리의 감정과 정신이 깃든 도자의 역사와 고미술품을 통해서 단순함과 절제미, 자연 친화적인 아름다움(즉 한국의 미니멀리즘 정신)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조선백자 ‘달항아리’는 다른 항아리들과 달리 업다지기 기법으로 두 개의 그릇을 만든 뒤 하나의 그릇을 뒤집어서 이어 붙여 하나의 구(동그라미)를 만들게 되는 정, 반, 합의 제작과정이 나에게 큰 흥미를 가져다주었다.
달항아리는 처음부터 온전한 것이 아닌 서로 다른 두 개의 합일을 통해야만 비로소 하나의 형태로 완성되는 과정이 조형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불완전함과 불완전함이 더해져 그제야 완전함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철학적 의미가 백자항아리의 순박하고 깨끗한 이미지와 투박하지만, 따뜻한 조선의 시대적 의미를 보여주며, 절제된 선비정신이 그 자체로 한국의 정서와 전통의 미학을 품고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나는 흙을 활용해서 바탕이 되는 도판과 항아리를 제작하고, 그 위에 단순하고 절제된 드로잉 작업을 통해 미니멀리즘 요소를 구현하고자 한다. 단순한 조형의 여백에 점, 선, 면을 활용한 자유로운 선으로 삶의 흔적을 회화적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청화 안료를 통해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코발트 농담은 ‘나’라는 자아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데 시작된다.
보통 도자작업은 기의 형태, 유약, 기법 등에 대해서 이야기를 많이 한다. 나는 이런 기본적인 요소에서 의도적인 우연성을 더하여 반복 될 수 없는 표현으로 공예라는 고정관념을 깰 수 있는 작업을 시도하고 있다.
오종보 작가
2015년 단국대학교 예술조형대학 도예학과 졸업
2017년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예학과(전통도예) 졸업
<경력>
2016~2017년 한국도자재단 이천세라피아 입주작가
2017년 한국도예고등학교 방과 후 도예강사
2017~2023년 양구백자박물관 문화상품개발 학예연구원
<논문>
2017년 선 상감을 응용한 청화백자항아리 제작에 관한 연구
<개인전>
2016년 제1회 개인전(백자청화선상감항아리) (서울, 청담 갤러리 민)
2017년 제2회 개인전(Just as life : 도판) (서울, 머큐어앰버서더호텔, Regina갤러리)
2023년 제3회 개인전(each-round object : Moon Jar) (양구, 양구백자박물관) 전시 (2023~2024)
2023년 청년미술상점 홈커밍데이(예술의전당 한가람디자인미술관)
2023년 춘천 아트페어 아르로드(춘천문화예술회관)
2023년 청년미술상점 4부(오종보,정보라)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2023년 부산 빌라쥬 드 아난티 모비딕마켓 편집샵 입점(엠토디자인/카트마르)
2023년 이천오픈아트페스티벌(예술산책으로즐기는여가) (이천에덴파라다이스호텔, 한국미술협회)
2023년 아트락 페스티벌 in하트원 (에코락갤러리, H.art1)
2024년 월광취담 단체전 (추성문화예술재단, 담양 담빛예술창고)
2024년 아트락 페스티벌 ‘대한민국 청년작가‘ (에코락갤러리,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2024년 브리즈아트페어 part2. NOW/GLOBAL (브리즈,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2024년 Spring Picnic 공예로운 봄 (송원아트센터)
<수상>
2016년 제4회 광주백자공모전(장려, 입선) (경기도 광주시)
2017년 제2회 뉴드로잉 프로젝트(입상) (양주시,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2018년 46회 강원미술대전(우수상(공예), 특선(공예)) (춘천문화예술회관/한국미협강원지사)
2019년 강원미술대전(특선(회화), 입선(공예)) (춘천문화예술회관/한국미협강원지사)
2019년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국제공모전 입상 (청주시,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조직위)
2019년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국제공모전 입상 (이천시, 한국도자재단)
2021년 49회 강원미술대전(우수상(회화)) (춘천문화예술회관/한국미술협회 강원지사)
2022년 kcdf 스타상품 본선 선정 (한국공예디자인진흥원)
2024년 경기도자비엔날레 국제공모전 입상 (이천시, 한국도자재단)
<작품 소장처>
경덕진도자대학 (중국),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양주시), 양구백자박물관 (양구군), 서울시청 박물관과 (서울시)
청년타임스 정수연 디렉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