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상과 다른 '한국의 나이아가라'... 그래도 괜찮다

성낙선 2022. 11. 20. 20: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탄강을 여행하는 법] 비둘기낭폭포, 주상절리 잔도길, 고석정 등

[성낙선 기자]

 한탄강 주상절리 잔도길 스카이전망대.
ⓒ 성낙선
지난해 11월 '한탄강 주상절리 잔도길'이 개방되면서, 한탄강을 찾는 관광객들이 크게 늘고 있다. 이전에도 한탄강을 찾는 관광객들이 꽤 있었지만, 래프팅을 하거나 한겨울에 얼음으로 덮인 강물 위 일부 구간을 걸어보는 것 외에는 한탄강 협곡 안쪽으로 발을 들여놓는 일이 쉽지 않았다. 잔도길이 그동안 미지나 다름없었던 협곡 내부를 직접 들여다보고 싶어 하던 사람들의 갈증을 해소해주면서 관광객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철원군은 지난해 '주상절리 잔도길'을 개방한 데 이어, 올해 다시 '주상절리 물윗길'을 개방한다. 현재는 일부 구간을 개방한 상태이고, 12월 중에 태봉대교에서 고석정을 거쳐 순담계곡까지 약 8km에 달하는 트레킹 코스를 전면 개방한다는 계획이다. 이 길이 개방되면, 허공에 떠 있는 잔도 위로 절벽을 가로질러 걸으며 한탄강의 다양한 풍경을 조망하던 관광객들이 이제는 강물 위에 띄워 놓은 부교 위를 걷는 등 좀 더 다채로운 방식으로 한탄강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한탄강 물윗길. 강물 위에 띄워 놓은 부교.
ⓒ 철원군
 
 한탄강 얼어붙은 강 위를 걷는 사람들(2013.1)
ⓒ 성낙선
한탄강은 북한 지역 내에 있는 강원도 평강군 장암산에서 발원해 철원, 포천, 연천 지역 등 평탄한 용암대지를 지나 임진강과 합류한다. 길이는 약 135km다. 이 한탄강 강물이 수십억 년 전 화산 폭발로 형성된 너른 용암대지 위를 흐르면서 끊임없이 침식 작용을 일으켜 지금과 같은 거대한 현무암 협곡을 형성했다. 그 과정에서 주상절리와 여러 가지 형태의 화강암 등 다양한 풍경을 노출했다.

한탄강에서는 이같은 현무암 협곡을 비롯해, 직탕폭포, 고석정, 비둘기낭폭포 등과 같은 이색적이면서도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주상절리 잔도길이나 물윗길 등을 여행한다면, 이들 여행지도 함께 들러보는 것이 어떨까 싶다. 비둘기낭폭포에서 시작해, 상류 쪽으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잔도길과 물윗길을 거쳐 직탕폭포까지 여행을 하게 되면, 한탄강 여행의 진수를 맛볼 수 있다.

한탄강은 2015년 12월 환경부에 의해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됐다. 그리고 2020년 7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받았다. 관광지는 지역마다, 그리고 계절마다 '이용시간'과 '휴무일'에 약간씩 차이가 있다. 여행을 떠나기 전에 미리 자세한 내용을 알아두는 게 좋다.
 
 비둘기낭 폭포
ⓒ 한탄강지질공원센터
   
[비둘기낭폭포]

비둘기낭폭포는 이름부터 독특하다.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주변 지형이 비둘기 둥지 모양을 하고 있는 데서, 그리고 다른 하나는 폭포 주변 동굴에 양비둘기가 서식한 데서 그런 이름이 붙었단다. 지금은 양비둘기 같은 건 찾아볼 수 없고, 폭포 옆으로 움푹 들어간 둥지 모양의 동굴만 남아 그 이름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

생김새도 이름만큼이나 독특하다. 어떻게 해서 이런 형태의 폭포가 형성됐는지 얼핏 이해하기 힘들다. 다른 세계에 와 있는 듯한 이 비경이 눈에 띄어 여러 드라마와 영화 속 장면에 배경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지금은 속이 훤히 들여다보이지만, 한국전쟁 당시에만 해도 수풀이 우거져 주민들이 대피시설로 이용하기도 했다는 말이 있다. 비둘기낭폭포는 주상절리, 판상절리, 하식동굴 등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어 지질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곳으로 꼽힌다. 201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

비둘기낭폭포를 중심으로 일대에 공원이 조성돼 있다. 공원 근처에 한탄강을 가로지르는 출렁다리가 있다. 이 다리 위를 걷기 위해 찾아오는 사람이 비둘기낭폭포를 보러 오는 사람만큼이나 많다. 다리 위에서 깊은 협곡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다. 비둘기낭폭포 가는 길에 '지질공원 전문 박물관'인 한탄강지질공원센터가 있다. 센터에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센터 입장 마감 시간은 오후 5시. 매주 화요일 휴관이고, 화요일이 공휴일이면 수요일에 쉰다.
 
 한탄강 주상절리 잔도길.
ⓒ 성낙선
 
 한탄강 주상절리 잔도길.
ⓒ 성낙선
 
[주상절리 잔도길]

순담매표소에서 드르니매표소까지 약 3.6km에 달하는 협곡을 따라서 수직으로 서 있는 한쪽 절벽 중간에 쇠로 만든 다리를 걸쳐놨다. 멀리서 보면, 그 다리가 마치 허공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절벽 잔도길이다. 그 길 위로 13개의 다리, 10개의 쉼터, 3개의 전망대가 설치돼 있다. 지난해 11월, 문을 연 이후로 수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찾고 있다. 당연히 주말에는 주차 전쟁이 벌어진다. 지자체에서 주자창 부지를 확보하려고 애를 쓰고 있다.

잔도길 여행에 나서기 전에 순담매표소와 드르니매표소 중 어느 쪽에서 여행을 시작할지 정하는 게 좋다. 상류쪽인 순담매표소에서 시작하는 길이 좀 더 잔도길답다는 평이 많다. 그리고 하류 쪽은 상대적으로 오르막과 내리막이 많은 편이다. 순담매표소가 있는 순담계곡은 원래 래프팅 명소로 유명한 곳이다. 지금은 잔도길을 찾는 사람들로 또 다른 명성을 얻고 있다.

반대편 매표소까지 걸어가는 데 보통 2시간가량 걸린다. 제법 긴 거리다. 반대편까지 가서 다시 돌아올 일이 걱정이 될 수도 있다. 주말에는 순환버스를 무료로 운행한다. 이 버스를 타고 양쪽 매표소를 오갈 수 있다. 주중에는 택시를 이용해 이동해야 한다. 잔도길 입장 마감 시간은 하절기엔 오후 4시, 동절기인 12월부터 2월까지는 오후 3시이다. 매주 화요일과 1월 1일, 설날, 추석에는 문을 닫는다.
 한탄강 고석정. 협곡 위에서 내려다 본 풍경(2011.5)
ⓒ 성낙선
 
 한탄강 고석정 바위(2011.5)
ⓒ 성낙선
  
[고석정]

한탄강 물길 한가운데에 15m 높이의 거대한 화강암 바위가 우뚝 서 있다. 그 풍경이 웅혼한 느낌을 자아낸다. 예전에 강변 한쪽에 '고석정'이라는 정자가 있었는데, 그 이름을 따서 그 일대를 고석정이라고 부른다. 지금 서 있는 정자는 한국전쟁 때 소실된 것을 1971년에 복원한 것이다. 고석정 바위 윗부분에 큰 구멍이 뚫려 있는 게 특이하다. 그곳에 임꺽정이 숨어 살았다는 다소 믿기 힘든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고석정 강물 위에 통통배가 떠다닌다. 협곡을 따라 내려갔다가 다시 거슬러 올라오는 작은 유람선이다. 코스는 짧지만, 절벽 사이 물 위를 떠가는 유람선에 앉아서 올려다보는 풍경이 꽤 압도적이다. 절벽 아래로는 다양한 모양의 화강암을 볼 수 있다. 자연이 빚은 석조 조각품들이다. 그걸 감상하는 재미도 쏠쏠하다.
 
 한탄강 순담계곡 물윗길 일부.
ⓒ 성낙선
 
 한탄강 송대소. 얼어붙은 강 위를 걷는 사람들(2013.1)
ⓒ 성낙선
  
[주상절리 물윗길]

물윗길은 태봉대교에서 순담계곡까지 8km에 걸쳐 있다. 부교 위를 걷는 길 2.7km와 강변 육로를 걷는 5.3km로 구성돼 있다. 현재는 태봉대교에서 은하수교까지 일부 구간만 개통돼 있다. 철원군은 11월 중 고석정까지 개통 구간을 늘린 다음, 12월 중에 전 구간을 개통한다는 계획이다.

예전에는 이곳 물윗길로 얼음 트레킹을 할 수 있는 축제가 열렸다. 철원군은 올해 12월에서 2월 사이 강추위가 불어 한탄강이 얼어붙으면, 이 구간에서 다시 얼음 트레킹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물윗길에서 바라보는 송대소 주상절리가 절경이다. 철원군에 따르면, 작년에만 2만 명이 넘는 관광객이 물윗길을 다녀갔다. 물윗길은 매년 10월에서 다음 해 3월까지만 운영된다. 입장 마감 시간과 휴무일은 잔도길과 같다.
 
 얼어붙은 한탄강 직탕폭포(2013.1)
ⓒ 성낙선
 
 얼어붙은 한탄강 직탕폭포(2013.1)
ⓒ 성낙선
  
[직탕폭포]

'한국의 나이아가라'라는 애칭을 갖고 있다. 나이아가라라고 하니까 꽤 규모가 있을 것 같지만, 실상은 전혀 그렇지 않다. 멀리서 내려다보면, 다소 실망스럽다. 폭포치고는 낙차가 그렇게 심하지 않다. 그 대신 폭이 넓다. 강 폭을 그대로 가로지른다. 강 쪽으로 내려가 좀 더 가까이 다가서 보면, 그래도 꽤 규모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폭포 높이가 약 3m, 폭이 약 80m다.

현무암 위로 물이 흐르고 오랜 세월에 걸쳐 침식 작용이 일어나면서 하천 바닥의 주상절리가 떨어져 나가 오늘날 이처럼 층이 진 폭포가 생겼다고 한다. '직탕'이라는 이름도 물이 곧장 떨어진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지금도 물이 떨어져 파이는 침식 작용에 의해 폭포 절벽을 이루고 있는 바위가 계속 깎여 나가고 있다. 그러면서 폭포 위치도 점점 상류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한다. 직탕폭포는 한겨울 얼음이 꽝꽝 얼어붙는 계절에 찾아가 보는 것도 괜찮다. 얼음 사이로 쏟아지는 거친 물살이 꽤 장쾌하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