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마사회, 디지털 혁신 생태계 조성 위해 행정안전부 등과 맞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마사회(회장 정기환)가 국민 눈높이에 부합하는 서비스 전달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행정안전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과 함께 '2025년도 상반기 디지털서비스 개방'을 추진한다.
올 상반기에 한국마사회가 개방할 디지털 서비스는 두 가지다.
마사회 배경열 디지털혁신부장은 "앞으로도 민간의 혁신역량을 활용해 마사회가 제공하는 공공서비스를 개방·연계함으로써 민·관 협력 기반의 다양한 융합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창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MHN스포츠 엄민용 선임기자) 한국마사회(회장 정기환)가 국민 눈높이에 부합하는 서비스 전달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행정안전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과 함께 '2025년도 상반기 디지털서비스 개방'을 추진한다.
'디지털서비스 개방'이란 공공앱에서만 이용 가능했던 공공서비스를 민간앱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디지털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고 국민의 편익을 증진하기 위함이다. 올 상반기에 한국마사회가 개방할 디지털 서비스는 두 가지다.
첫 번째는 '기승능력인증제 자격시험 신청·조회 서비스'다. '기승능력인증제'란 승마 이용자의 기승능력을 등급화해 이를 인증하는 제도로, 안전하고 체계적인 승마 이용을 권장하고 보급하기 위한 절차다. 해당 서비스 개방을 통해 승마장에서는 기승자 수준에 맞는 적합한 말을 배정하고 안전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두 번째는 '불법경마 간편 신고 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문자, 메일 또는 SNS를 통해 홍보하고 있는 불법경마 콘텐츠를 신고하는 공익 서비스로, 신고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신속한 대응체계를 구축해 건전한 경마문화 정착에 기여하게 된다.
마사회 배경열 디지털혁신부장은 "앞으로도 민간의 혁신역량을 활용해 마사회가 제공하는 공공서비스를 개방·연계함으로써 민·관 협력 기반의 다양한 융합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창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디지털 서비스 개방 관련 업무협력 및 제휴 문의는 'kra_digital@kra.co.kr'로 하면 된다.
Copyright © MHN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마사회, 피학대 구조마 ‘유니콘’을 품에 안았다 - MHN스포츠 / MHN Sports
- 2세 경주마 한 마리 가격이 1억3000만원 - MHN스포츠 / MHN Sports
- 말도 신발을 신는다…마사회, ‘장제사’ 교육생 모집 - MHN스포츠 / MHN Sports
- 장수목장, 4월부터 목장 개방 ‘말 체험’ 기회 넓힌다 - MHN스포츠 / MHN Sports
- 씨수말 ‘제이에스초이스’가 돌아왔다! - MHN스포츠 / MHN Sports
- ‘불법경마’ 잡아야 ‘건전경마’가 산다 - MHN스포츠 / MHN Sports
- “약물 사용 꼼짝 마”…한국마사회 도핑검사소, 경주마 도핑검사 역량 뽐내 - MHN스포츠 / MHN Spor
- 유도 -100㎏급 김세헌, -73㎏ 안재홍 또다시 태그마크 달아 - MHN스포츠 / MHN Sports
- 한국마사회와 손잡은 중소기업들 세계무대에서도 경쟁력 입증 - MHN스포츠 / MHN Sports
- 한국마사회, ‘갑질 아웃’ … 건강한 조직문화 만들기 힘써 - MHN스포츠 / MHN Spo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