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는 온몸이 털로 덮여 있고 체온이 38~39도로 사람보다 높아서 추위를 타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요. 하지만 사람보다 추위를 덜 느끼는 것이지 추위를 타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이제 곧 다가오는 찬바람이 쌩쌩부는 겨울철에 강아지와 산책 나갈 때는 주의해주셔야 하는 사항들이 있는데요.
겨울철 강아지와의 산책에서는 어떤 점들은 주의해 주셔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준비운동
추운 날씨에는 집에 있다가 밖에 나가기 전에는 준비운동을 해주시는 것이 좋은데요. 준비 운동 없이 추운 날씨에 바로 산책하게 되면 관절염이나 슬개골 탈구에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준비운동을 해주실 때는 양쪽 앞다리와 뒷다리를 부드럽게 굽혔다 폈다를 10회 정도 반복해 주시면 되는데요. 너무 과도하게 굽혔다 펴면 오히려 아파할 수 있으니 부드럽게 해 주시길 바랍니다.
따뜻한 옷
추운 날씨에 산책할 때는 보온이 중요한데요. 낮에는 비교적 기온이 높다고 하더라도 겨울의 추위는 피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나이가 많거나 어린 강아지, 소형견, 치와와나 시츄 같은 단모종인 아이들은 추위에 더욱 약하기 때문에 따뜻한 옷을 입혀서 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시길 바랍니다.
만약 강아지가 옷 입는 것을 불편해한다면 다리를 끼우지 않아도 되는 옷을 추천드립니다.
염화칼슘 주의
겨울에 눈이 오면 얼어서 사고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염화칼슘을 뿌리게 되는데요. 하지만 이러한 염화칼슘을 강아지들이 신발을 신지 않은 채 밟게 되면 발바닥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됩니다.
염화칼슘은 형태가 날카로워서 발바닥에 상처를 입힐 수 있으며 발바닥 털에 염화칼슘이 뭉치기도 합니다. 이렇게 되면 발바닥 피부에 물집이 잡히거나 습진에 걸릴 위험성이 있는데요. 그러니 눈이 온 겨울철에는 신발을 신기고 산책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시간 산책 주의
강아지들이 겨울에 장시간 산책을 하게 되면 동상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고 저체온증에 걸릴 수도 있습니다. 아무리 산책을 좋아하는 강아지라도 겨울철에는 장시간 산책은 피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산책대신 집이나 실내에서 노즈워크를 활용하여 스트레스와 활동량을 채워주시면 좋은 대안이 됩니다.
감기
강아지도 급격한 온도 변화를 겪게 되면 면역력이 약해지면서 감기에 걸릴 수 있는데요. 감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산책이나 외출 전에 베란다나 창문을 열어 외부 온도에 적응시킨 후 나가시는 게 좋습니다.
강아지가 감기에 걸리게 되면 사람처럼 기침을 하고 콧물도 흘리는데요. 또한 식욕이 떨어져 밥을 잘 먹지 않습니다.
이렇게 강아지와의 겨울 산책 시 주의해야 하는 점들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추운 겨울철이라고 해도 강아지의 산책은 필수적으로 해주시는 것이 좋으니 주의해야 하는 것들에 대해 인지해두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 오토카뉴스. 모든 권리 보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