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방울, 60년 역사의 내의 기업에서 해체 위기까지
쌍방울은 한국 내의 산업의 역사와 함께해온 대표적인 기업이다. 1954년 전라북도 익산(당시 이리시)에서 '형제상회'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쌍방울은 한때 국내 내의 시장을 석권하며 승승장구했지만, 최근 대북송금 의혹과 경영진 비리 등으로 인해 상장폐지 위기에 처해있다. 쌍방울의 흥망성쇠를 통해 한국 기업의 성장과 위기, 그리고 변화하는 경영 환경을 살펴볼 수 있다.
전통 내의 기업의 탄생과 성장
쌍방울의 시작은 1954년 이봉녕, 이창녕 형제가 설립한 '형제상회'였다. 이후 1962년 삼남메리야스를 설립하고 1963년 쌍녕섬유공업사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본격적인 내의 제조업에 뛰어들었다. 1964년부터 '쌍방울' 브랜드를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두 형제의 이름 '녕(寧)'자에서 유래한 것이다.
1970년대와 1980년대를 거치며 쌍방울은 급속도로 성장했다. 1979년 본사를 서울로 이전하고, 1984년에는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1987년에는 자체 브랜드 '트라이(TRY)'를 출시하며 내의 제조유통 전문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1980년대 쌍방울은 전북 연고 기업 중 손꼽히는 대기업으로 성장했다.
다각화와 위기
쌍방울은 1990년대 들어 사업 다각화에 나섰다. 1990년 무주리조트를 개장하고, 1989년에는 프로야구단 '쌍방울 레이더스'를 창단했다. 그러나 이러한 무리한 확장이 화근이 되어 1997년 외환위기와 함께 부도 위기를 맞았다.
회사는 1998년 법정관리에 들어갔고, 구조조정을 통해 야구단과 마라톤팀을 해체하는 등 생존을 위해 노력했다. 2000년대 초반 경영 정상화를 위해 노력했지만, 2004년 대한전선에 매각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김성태 전 회장 체제와 대북송금 의혹
2010년 김성태가 설립한 레드티그리스가 쌍방울을 인수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그러나 2023년 김성태 전 회장의 대북송금 의혹과 횡령·배임 혐의가 불거지면서 쌍방울은 다시 한번 위기에 처했다.
김 전 회장은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의 요청으로 북한에 800만 달러를 전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로 인해 2023년 7월부터 쌍방울의 주식 거래가 정지되었고, 상장폐지 위기에 처했다.
그룹 해체와 독자경영 선언
위기 극복을 위해 쌍방울그룹은 2025년 2월 4일 전격적으로 그룹 해체를 선언했다. 쌍방울은 사명을 '트라이(TRY)'로 변경하고, 패션과 뷰티를 아우르는 기업으로 새로운 도약을 선언했다. 각 계열사들은 독자적인 경영 체제를 구축하고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2025년 2월 11일 한국거래소는 쌍방울에 대한 상장폐지를 최종 결정했다. 거래소는 쌍방울의 개선계획 이행 여부와 기업의 계속성 등을 종합적으로 심의한 결과 상장폐지 기준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쌍방울의 몰락이 주는 교훈
쌍방울의 사례는 한국 기업들에게 여러 가지 교훈을 준다. 첫째, 기업의 핵심 역량에 집중하는 것의 중요성이다. 쌍방울은 내의 제조업에서 시작해 리조트, 프로스포츠 등으로 무리하게 사업을 확장하다 위기를 맞았다. 둘째, 브랜드 혁신의 필요성이다. 쌍방울의 주력 브랜드 '트라이'는 오랜 업력에도 불구하고 브랜드 노후화로 인해 경쟁력을 잃어갔다.
셋째, 기업 지배구조와 경영 투명성의 중요성이다. 김성태 전 회장의 비리 의혹은 기업 전체의 존립을 위협하는 결과를 낳았다. 넷째,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대한 대응력이다. 온라인 쇼핑의 성장, 소비자 취향의 변화 등에 쌍방울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점도 쇠락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향후 전망과 과제
쌍방울의 상장폐지 결정에 대해 회사 측은 강력히 반발하고 있으며,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 그러나 기업의 신뢰도 회복과 경영 정상화까지는 험난한 길이 예상된다. 쌍방울이 60년 넘게 쌓아온 브랜드 가치와 기술력을 살려 재기에 성공할 수 있을지, 아니면 한국 경제사의 한 페이지로 남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쌍방울의 사례는 한국 기업들에게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핵심 역량 강화, 투명한 경영, 시장 변화에 대한 민첩한 대응이 필수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경영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우는 계기가 되고 있다.
Copyright © 저작권 보호를 받는 본 콘텐츠는 카카오의 운영지침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