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진료과가 협진을 통해 치료하는 척수이형성증!
소아신경외과 이지연 교수, 소아재활의학과 신형익 교수, 소아정형외과 송미현 교수, 소아비뇨기과 임영재 교수가 모여
척수이형성증 치료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비뇨의학과에서는 어떤 치료를 해야 하나요?
약물치료와 자가도뇨가 기본 치료입니다.
척수이형성증에 의한 방광 문제는 어렸을 때 치료받고 끝이 아니라 평생 안고 가야 하는 문제입니다.
환자가 커가면서 나이에 따라 치료해야 하는 부분이 달라집니다.
방광 자체가 좋지 않을 경우, 신장과 방광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방광 문제가 심각해지면 신장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신장이 많이 손상되면 신부전, 신장 이식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단순히 방광의 기능을 잘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신장이 손상되지 않게 잘 관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정형외과에서는 어떤 치료를 하나요?
보조기는 매우 초기에 사용합니다.
변형이 너무 심하면 보조기 안에서도 유지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발은 4개의 구역으로 근육이 나뉩니다.
마비가 된 근육과 마비가 되지 않은 근육이 있을 때 그것들이 균형이 깨지면 마비가 있는 힘줄 위치에 마비가 없는 힘줄을 절반 이상 이사를 시켜 힘줄의 이전술을 시행합니다.
수술을 해서 다시 균형을 최대한 확보하려는 노력을 합니다.
고관절 같은 경우 골두가 골반 안에 깊이 들어가야 하는데, 그런 것들이 잘 얻어지지 않을 때그런 형태에 가깝게 고관절을 다시 한번 깊숙이 들어가는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절골술을 하게 됩니다.
재활의학과의 교정 치료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마비가 생기면 사람의 몸에 변형이 오게 됩니다.
발목에 마비가 있다고 하면 마비가 있는 채로 쭉 있는 것이 아니라 발목이 굳거나 비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마비된 부위가 굳거나 틀어지지 않도록 꾸준하게 스트레칭하거나 자세를 교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척추도 한쪽에 마비가 오면 마비되지 않은 쪽이 잡아당기면서 척추가 휘게 됩니다.
좋은 자세로 생활할 수 있고 운동할 수 있도록 교정치료를 병행합니다.
가정에서 신경 쓰면 좋은 부분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개인에게 맞는 재활치료가 세팅되면 그것을 집에서 꾸준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배변 문제가 많이 생깁니다.
장이 기능을 하려면 신경의 조절이 필요한데, 신경에 문제가 생기면 변비가 잘 생기게 됩니다.
변비가 변비 하나만의 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방광 기능에도 나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변비가 생기지 않도록 식생활 습관의 관리도 필요합니다.
비뇨의학과적으로는 자가도뇨와 약물치료를 잘 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근력운동을 잘하는 것도 중요하고, 올바른 자세로 걷는 노력도 중요합니다.
협진을 통해 계획을 세워두면 어떤 점이 좋은가요?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소변보는 기능, 발가락과 발목 등 근골격계에 변화가 나타나게 됩니다.
의견 교환과 계획 수립으로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서울대병원TV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