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처셀, 세포치료제 분야 한국 기업 최초로 美 FDA '혁신 치료제' 지정

퇴행성관절염 줄기세포치료제

바이오기업 네이처셀의 퇴행성관절염 줄기세포치료제가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의 혁신 치료제로 지정됐다. 세포치료제 분야에서 혁신치료제 인증을 받은 기업은 한국 기업 중 네이처셀이 유일하다.

네이처셀 CI.

20일 바이오기업 네이처셀은 21일 조인트스템이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으로부터 세포치료제 분야에서 '혁신적 치료제'로 지정받았다고 밝혔다.

미국 FDA로부터 혁신적 치료제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임상시험 결과가 기존 치료법과 비교해 월등하게 유의미한 개선 효과가 입증돼야 한다.

혁신적 치료제로 지정(BTD)되면 패스트 트랙으로 지정되고 효율적인 의약품 개발 관련 FDA의 집중적인 지원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품목허가 확률이 높아지고, 의약품 개발기간도 단축된다.

조인트스템은 중증 무릎 퇴행성관절염 환자들을 위한 세계 최초 자가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치료제로, 단 1회 무릎 관절강 내 국소 주사로 연골 재생 작용을 통해 통증 감소와 관절 기능 개선 효과가 최소 3년간 지속될 수 있다고 회사는 전했다.

국제 학술지(Arthritis&Rheumatology)에 따르면 미국의 무릎 퇴행성관절염 환자 수는 2019년 약 5187만 명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한국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으로 300만명 이상의 환자가 무릎 퇴행성관절염으로 병원을 찾았다. 또 무릎 인공관절치환술을 받은 환자 수는 2022년 7만2845명에 달했다.

라정찬 네이처셀 회장. / 네이처셀
조인트스템의 혁신적 치료제 지정은 한국 식약처 가이드라인에 따라 시행된 제3상 임상시험 및 3년 장기추적관찰 연구 결과를 제출해 인정받은 것에 의미가 있다...이는 한국의 규제과학이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한다는 의미"
- 라정찬 네이처셀 회장 -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