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을 키우는 보호자라면 강아지의 점프나 갑작스러운 동작에 가슴이 철렁할 때가 많습니다. 특히 소형견인 말티즈, 포메라니안 등은 슬개골 탈구 위험이 크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슬개골 탈구의 원인과 증상, 치료 방법 및 예방책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슬개골 탈구란?
강아지의 슬개골은 뒷다리 무릎 관절 위에 위치한 아몬드 모양의 뼈로, 무릎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정상적인 경우 슬개골은 뼈의 홈에 고정되어 무릎을 안정적으로 움직이게 합니다. 그러나 다양한 원인으로 슬개골이 제자리를 벗어나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빠지면 ‘슬개골 탈구’가 발생합니다.
슬개골 탈구 증상과 단계
슬개골 탈구는 증상의 심각도에 따라 4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1단계:
슬개골이 정상 위치에 있으나 가끔 밀려나는 상태입니다. 보행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간혹 다리를 들고 걷는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2단계:
슬개골이 제자리와 탈구 상태를 반복하며, 가벼운 자극에도 빠집니다. 강아지는 일시적인 절뚝거림과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3단계:
슬개골이 지속적으로 빠져있고, 손으로 밀면 제자리로 돌아가지만 강아지는 걸음걸이에 이상을 보입니다. 근육이 점점 위축될 수 있습니다.
4단계:
슬개골이 완전히 빠져 있으며 손으로 밀어도 돌아가지 않습니다. 심각한 통증과 다리 변형이 동반되며 걷기 어려운 상태가 됩니다.
슬개골 탈구 치료 방법
비수술적 관리:
1~2단계의 경우 체중 관리와 운동량 조절, 관절 보조제를 통해 관리할 수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
3단계 이상의 심각한 경우 수술이 필요합니다. 수술 방법에는 슬개골을 고정하는 인대 강화, 관절 홈 깊이 조정 등이 있습니다. 수술 후 회복 기간에는 2개월간 점프와 격한 운동을 피하고, 미끄럼 방지 매트를 설치해 재발을 예방해야 합니다.
슬개골 탈구 예방 수칙
1. 미끄럼 방지 매트 설치
실내 바닥은 강아지에게 매우 미끄럽습니다. 매트나 카펫을 깔아 관절 부담을 줄이세요.
2. 점프 및 두발 서기 금지
강아지가 소파나 침대에서 뛰어내리거나 두 발로 서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3. 체중 관리
비만은 관절에 부담을 줍니다. 적절한 사료 급여와 산책을 통해 체중을 관리하세요.
4. 강아지 계단 설치
높은 곳에 오르내릴 때 사용하는 강아지 전용 계단은 슬개골 탈구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강아지의 슬개골 탈구는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히 관리해야 회복이 빠릅니다. 반려견의 움직임을 주의 깊게 살피고 평소와 다른 걸음걸이를 보이면 빠른 시일 내에 동물병원을 방문하세요. 우리 아이의 건강한 관절을 지키기 위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Copyright © animaltoc_off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