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싱굴벙굴 21세기 대한민국 화재 원인.txt

조회 42025. 3. 26.
2facd12deff12aad6994f38a24c9333eac66101a0a3334070a7d352be389114d9128e3d773f78ae4992c90b861d2a66c68e48b20160b60e2dbda053af257874056d3e537095399faabf31ef5d92ed0da4f0f587ce44369ba31258c22e177bf09b8cfa22346c664ddcc6e01f61a742dd96e8949c7668b298db74650234eaa019c838c89a036da5050d8486e9ecfd58802a3a889a11383eafef86abf948e0b5add5d815d91e49f

1단계

2단계

3단계

2000년 4월 동해안 - 쓰레기 소각

2002년 4월 청양-예산 - 무속인이 부적 태우다 발화

2013년 3월 포항 - 중학생이 낙엽 태우며 장난침

2017년 5월 강릉-삼척-상주 - 입산자 실화 (상주는 쓰레기 소각)

2019년 4월 부산 - 밭 소각

2019년 4월 고성-속초 - 개폐기의 특고압 전선이 떨어져 나가면서 발생한 아크

2019년 4월 강릉-동해 - 전기 합선

2019년 4월 인제 - 밭 잡초 소각

2020년 1월 춘천 - 쓰레기 소각

2020년 4월 안동 - 원인 불명이나 실화로 추정

2020년 5월 고성 - 화목보일러의 부실시공으로 인한 주택화재 전이

2020년 6월 양산 - 송전탑 스파크

2021년 2월 영동 - 화목 보일러 재 간수 미흡

2021년 11월 양양 - 쓰레기 소각

2022년 2월 구례 - 예초 작업중 불씨 발화

2022년 2월 영덕 - 농업용 반사필름이 전신주에 닿아 발생

2022년 2월 대구 - 용계리에 난 산불과 오리에 난 산불 모두 같은 사람이 낸 방화로 추정

2022년 3월 강릉-동해 - 방화

2022년 3월 울진-삼척 - 방화 / 실화 (담뱃불로 추정)

2022년 4월 남한산성 - 방화 / 실화 (담뱃불로 추정)

2022년 4월 봉화 - 화목 보일러 재 투기

2022년 4월 양구          - 실화

2022년 5월 울진 - 도로 낙석방지 철조망 용접 중 불꽃이 산으로 튀어 발화

2022년 5월 밀양 - 방화 추정 (용의자 사망으로 종결)

2023년 2월 예천 - 쓰레기 소각

2023년 3월 순천 - 과수원 부산물 소각

2023년 3월 영양 - 쓰레기 소각

2023년 3월 합천 - 담뱃불 발화

2023년 3월 하동 - 화목 보일러 발화

2023년 3월 상주 - 화목 보일러 재 투기

2023년 3월 평창 - 화목 보일러 재 투기

2023년 3월 순천 - 낙엽 소각중 산으로 튀어 발화

2023년 3월 서천 - 볏짚 소각 비화

2023년 3월 강화 - 인근 굿당 화재

2023년 3월 제천 - 담뱃불 발화

2023년 3월 포천 - 담뱃불 발화

2023년 4월 고창 - 농산 폐기물 소각

2023년 4월 서울 - 담뱃불 발화

2023년 4월 옥천 - 담뱃불 실화

2023년 4월 보령 - 영농부산물 소각

2023년 4월 군위 - 용접중 불티 발화

2023년 4월 대전-금산 - 입산자 실화

2023년 4월 홍성 - 담뱃불 실화

2023년 4월 함평 - 양봉장 쓰레기 소각

2023년 4월 순천 - 건설현장 실화

2023년 4월 영주 - 양봉장 전기제품 합선

2023년 4월 강릉 - 강풍으로 수목이 전도되며 전신주에 불이 붙어 산림으로 비화 (억까)

2025년 3월 청도 - 소각 부주의

2025년 3월 사천 - 암자 화재 비화 *암자란 큰 절에 딸린 작은 절

2025년 3월 산청-하동-진주 - 예초기 화재 추정

2025년 3월 의성-안동 - 성묘객 실화(안평면) 및 쓰레기 소각(안계면)

2025년 3월 울주 온양 - 용접 작업 중인 농막에서 비화

2025년 3월 김해 - 과자 봉지 소각

2025년 3월 울주 언양 - 등산객 실화 추정

원인이 명확히 밝혀진 21세기 대한민국 산불 56건 중 담배가 원인이 된 산불은 이번에 발생한 의성 산불을 포함하여 총 9건임

608d9d21e4df339c3a8bfae111c4023bc00decfd2bc7ce6244244e5595ffcbafb7fd993d10b5c91c97edd44d0fa5334a50263d9174b86f6c892d41f5d94d8d3f341cde51bb8aa3788d7c4aacd896136a7cfdcd9c2d75ba9900c5a241773c9b658737ae0df37e5f95fa8a8e6b90cca43ed5b58c83fca56ff371a8ea1222a1dea46e2f477ed97fe59fc8b0d379e5d99717c5aff93e9683bbb9b2c89e7a783359849c851087022e

현재 가장 심각하다고 평가되는 의성 산불은 어림잡아 15만 헥타르 이상이 소실될것으로 보이며

산불 대응 3단계 / 국가 소방 동원령 3호 / 소방 비상 최고 단계 3단계 / 경찰비상업무 갑호비상 (울릉도 제외한 경북 전역)

국가유산 재난 심각 단계 (정부 수립이래 최초) / 방송통신재난위기경보 주의단계 등

전례없는 타이틀을 보유중

* 15만 헥타르 = (여의도 517배 / 서울 면적의 2.5배 / 축구장 약 15만개)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