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주축으로 하는 세계 주요 낸드 플래시 반도체 생산업체들의 올해 해당 사업이 녹록치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수요 약세와 공급 과잉에 따른 감산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22일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는 올해도 낸드 플래시 업계가 수요 약세와 공급 과잉으로 인한 이중 압박에 직면하고, 그 결과 전 세계 주요 반도체 업체들이 메모리 반도체 중 하나인 낸드 플래시의 감산에 돌입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렌드포스는 "마이크론·삼성전자·SK하이닉스(솔리다임 포함)·키옥시아·샌디스크 등 제조업체들이 가동률을 낮추고 공정 업그레이드를 지연시키는 방식으로 감산을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트렌드포스는 낸드 제조업체들이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스마트폰·노트북과 같은 핵심 소비자 가전제품 출하량이 계속해서 부진하고, 그나마 견조했던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도 IT 투자 둔화로 성장세가 꺾이고 있어 감산 카드를 꺼내들었다고 판단했다.
트렌스포스는 또 "중국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을 등에 업은 중국 업체들의 공격적인 생산량 확대로 글로벌 시장 경쟁이 심화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이미 마이크론은 낸드 감산 계획을 발표했고, 키옥시아와 파트너사인 샌디스크도 비슷한 조치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트렌드포스는 "삼성전자의 경우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와 새로운 기술로의 지속적인 전환으로 인해 재고 압박이 가중되고 있고, SK하이닉스도 생산 전략 조정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트렌드포스는 "단기적인 감산이 가격을 안정시키고 공급 과잉으로 인한 압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생산량 감축이 업계 통합을 가속해 경쟁력이 약한 업체에 퇴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