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짓는데, 2년이나 걸린다고?! 뭘 하길래? 집짓기 과정 총정리!

집 하나 짓는 건데
길게는 2년이나 걸린다고?
도면 몇 장 그리는 거잖아?!!​
라고 생각한다면, 큰 착각입니다.

도면을 그리기 위해서는
그 이전 상당한 기간의
선행 작업이 필요하고
도면은 도서로 만들어질 만큼
방대한 양이며
시공은 작업하는 날 만큼
기다리는 날이 필요합니다.​

그럼 무슨 과정과 어떤 작업을 진행하기에
이렇게 많은 시간이 소비되는지
아키리즘 블랙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에피소드에서도
박현진 건축가 (hjp_park)
윤은주 건축가 (be.architects_seoul
)김성우 건축가 (gy_arch)
공경태 편집장 (phm.coo)과 함께
게스트로
이선수 실내디자인 감독 (jjssbros_record)
참여해 주셨습니다!

집짓기 과정은 어떻게 될까?

집짓기 과정은 보통 4단계,
조금 더 쪼개 면 5~6단계 정도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기본 4단계는
기획설계, 계획설계, 실시설계, 시공입니다.​

아키리즘 블랙에서는
이해를 더 쉽게 돕기 위해
6단계로 나눠서 이야기 했습니다.

첫 미팅에서 계약까지는
보통 2-3주 정도 소요된다고 하네요.

이 기간을 넘게되면
계약이 안되 거나
한 참 뒤에 계약이 성사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하이엔드 건축을 하는
윤은주 소장님께
돈 많은 사장님들과의 계약은
어떻게 진행되는 지 물었는데요,
ㅋㅋㅋ

요 내용은 영상에서~~~


클라이언트와 계약을 할 때
지인을 통해 소개 받고 찾아오는 분들과
확률이 높게 이뤄 진다고 하네요.

계약 후 주택 외관 디자인과
내부 구성이안이 나오는데 까지는
얼마나 걸릴까요?

최소 2개월 정도 소요된다고 하네요.
도면을 그리는 것도 아닌데
왜 그렇게 많은 시간이 소요될 까 싶었는데
상담하는 과정이 꽤 길다고 합니다.

앞에서 언급한 기본설계가 끝나면
이제는 계획설계 단계로 넘어갑니다.

본격적으로 크기와 수치를 정해
도면으로 만드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기간도 역시 2개월 정도 소요된다고 합니다.

착공에 들어가 전
집 디자인에 대한 모든 결정은
끝내 놓아야 합니다.

착공에 들어가게 되면
도면 변경이 어려운 부분이 있기 때문인데요,
물론 변경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추가 비용 등이 발생할 수 있어
기간이 길어져도
착공 전에 완벽하게 해 놓는 게
좋다고 합니다.

집이 준공되면
인허가를 받고 입주는 하면 되는데
큰 문제가 없다면 15일 정도면 마무리된다고 합니다.

​여기서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가
바로 사전입주 입니다.
인허가 완료 전 집이 완성되었으니
내집인데 먼저 들어가 살면 어떻냐는
건축주 분들이 많습니다.​

맞는 이야기 같기도 하고,
대부분 인허가를 신청하면
단독주택은 반려되는 경우 많이 없어
사전입주를 못 본 척
넘어가기도 하는데,
사실, 사전입주는 엄연한 불법이라고 합니다.

자칫 잘몰하면,
건축가, 건축주, 감리자 모두가 처벌을 받을 수 있는
아찔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조금 급하더라도
15일 만 더 참고
우리의 새집에서 생활하도록 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 아닐까 싶습니다.

​집짓기 과정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아키리즘 블랙"집짓는 과정과 기간" 편에서확인해 보세요~~~

Copyright © PHM ZINE 기사로 무단전재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