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첫 TV 토론…후보 전략은 [21대 대선]
김다인 2025. 5. 16. 15: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가 18일 첫 TV 토론회를 갖는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이번 TV 토론회에 대해 "후보들이 직접 나와 토론한다는 측면에서는 관심을 끌겠지만, 워낙 판도가 단단하게 고정된 현 상황에서는 지지율에 큰 영향을 주지는 못할 것"이라며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 양자 대결보다도 오히려 이준석 후보가 보수 대안으로서 자리 매김할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가 18일 첫 TV 토론회를 갖는다. 대선을 10여 일 앞두고 열리는 이번 TV 토론회가 대선 막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6일 정치권에 따르면 첫 TV 토론 주제는 ‘저성장 극복과 민생경제 활성화 방안’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최로 열리는 이번 토론회는 18일 오후 8~10시 서울 상암 SBS 스튜디오에서 진행된다. 세 차례 토론회 모두 KBS, MBC, SBS에서 동시 생중계된다.
이재명 후보는 경제 성장을 주요 의제로 내세운 만큼 준비된 정책 소개와 윤석열 정부의 경제 실책 비판을 함께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지지율 선두에 서 있는 후보에 걸맞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대세론’을 굳히는 게 이번 토론회의 목표다. 게다가 이재명 후보는 당내 경선 포함 이번이 세 번째 대선 도전이다. 그간의 경험에서 우러난 노련함이 돋보일 것이라는 평가도 있다.
김 후보는 이재명 후보와의 차별점을 부각할 전망이다. 보수 표심 공략을 위해 기업 하기 좋은 나라, 규제 완화 등을 중심으로 논의를 이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후보의 법인카드 유용 의혹, 대장동·백현동 비리 의혹 등을 언급하며 본인의 청렴함을 부각할 가능성도 있다.
이준석 후보는 이번 토론회를 지지율 반전 계기로 삼을 계획이다. 이재명 후보의 포퓰리즘 공약 비판과 동시에 이재명 후보 견제를 위해서는 김 후보보다 본인이 더 나은 선택임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권영국 후보는 노동과 불평등 완화 등 진보 정당의 전통적 아젠다를 내세워 분배와 노동 정책 중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이번 TV 토론회에 대해 “후보들이 직접 나와 토론한다는 측면에서는 관심을 끌겠지만, 워낙 판도가 단단하게 고정된 현 상황에서는 지지율에 큰 영향을 주지는 못할 것”이라며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 양자 대결보다도 오히려 이준석 후보가 보수 대안으로서 자리 매김할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다인 기자 daink@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쿠키뉴스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트럼프 중동 상황으로 G7 일정 단축…“모두 즉시 테헤란 떠나야”
- 한미 정상회담 ‘불투명’…대통령실, 트럼프 조기 귀국에 “확인 중” [G7 정상회의]
- 민중기 특검 “김여사 입원 보도로 접해…대면조사 이뤄질 것”
- 트럼프 귀국에 한미정상회담 불발…“미국서 양해 구해” [G7 정상회의]
- ‘약국계 코스트코’ 등장에 설왕설래…“선택권 존중” vs “오남용 우려”
- 국민연금, 이대로면 머잖아 적자…“보험료 인상 고려해야”
- 李대통령 “추경, 소득지원·소득진작 두 가지 섞어하면 어떻겠나” [G7 정상회의]
- 문재인 ‘뇌물혐의’ 재판 울산 이송 불허…중앙지법서 계속 재판
- 송언석 “당 쇄신 위한 혁신위원회 추진…전국정당 복원”
- 책임 없는 대책에 미뤄지는 정상화…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잊힌 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