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지하게 웃기는 인생] 수다스러운 고양이, 순자
새벽 5시. 알람을 맞춰 놓은 스마트폰이 울리면 눈을 뜬다. 곤히 자는 아내를 깨우지 않도록 조심하며 밖으로 나와 마루에 있는 내 책상 앞에 앉는다. 아직 해가 뜨기 전의 세상은 고요하기만 하다. 회사를 그만둔 뒤 나에겐 이 시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아무도 방해하지 않는 시공간 속에서 혼자 책을 읽고 글을 쓰거나 공상의 나래를 펼친다. 그러다 피곤하면 다시 자면 된다. 그런데 이런 소중한 시간을 방해하는 존재가 있으니 바로 ‘말하는 고양이’ 순자다.
“왜, 무슨 고민 있어?” 순자가 시큰둥한 표정으로 다가와서 말을 붙인다. 나는 “네가 알 바 아니잖아”라고 쏴붙이지만 순자는 아랑곳하지 않고 계속 질문을 해댄다. 정말 귀찮은 존재다. 순자는 매일 새벽 몇 분 동안만 말을 할 수 있는 신기한 고양이다. 원래 말을 못했는데 아내가 실수로 사료량을 갑자기 줄이는 바람에 배가 고파 ‘고뇌하는 고양이’로 변신했다고 한다. 나중에 실수를 깨달은 아내가 다시 사료량을 늘렸지만 그때는 이미 배고픔을 잊기 위해 집안의 책들을 샅샅이 훔쳐 읽고 지식고양이가 된 순자가 내친김에 인간의 말까지 배운 뒤였다.
사실 순자는 베스트셀러 소설 ‘아버지의 해방일지’를 쓴 정지아 작가가 구례에서 기르는 고양이들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출생 스토리가 있다. 그래서인지 언어 능력이 탁월하다. 그러나 말할 줄 안다는 게 세상에 알려지면 여러 가지 골치 아픈 일이 생길 게 뻔하므로 제일 만만한 나에게만 비밀을 털어놓은 것이다(교활한 것 같으니라고).
순자는 귀가 앞으로 접힌 ‘스코티시폴드’ 형제들과 달리 혼자만 귀가 서 고양이 집사들에게 인기가 없었다고 한다. 아는 작가에게 그 얘길 듣고 나니 괜히 우리가 키워야 한다는 이상한 의무감이 들었다. 아내는 사람이든 고양이든 순하게 살아야 한다며 이름을 순자라고 지었다.
순자는 사람을 좋아했고, 특히 처음 보는 사람에게도 인사를 잘했다. 잇몸이 안 좋은 걸 방치했다가 결국 이빨을 거의 다 뽑고 말았는데, 그 과정에서 전신마취를 하느라 치료비가 많이 들었다. 결국 건강보험이 없는 순자가 우리 집 ‘의료비 지출 1위’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다.
순자는 아줌마 얘기를 할 때는 존댓말을 했지만(아줌마는 고마운 분이야) 나에게는 꼭 반말을 했다(그러니까 넌 아줌마한테 잘해). 건방진 고양이였다. 나는 순자가 마음에 안 들었지만 아침에 몇 분만 떠들다가 조용해지는 미덕이 있고 별다른 사고도 치지 않기에 그런대로 잘 지내기로 마음먹었다. 그런데 가끔은 논쟁을 벌이기도 한다. 한 번은 내가 OTT로 찾아낸 우디 앨런의 옛날 영화 ‘한나와 그의 자매들’을 보고 있는데 순자가 와서 참견을 했다.
“우디 앨런은 셰익스피어 최고작을 ‘오셀로’라고 생각하는군.” 그 얘기를 듣고 내가 받아쳤다. “그거야 한나가 연극 ‘오셀로’에 캐스팅된 걸 축하하느라 엄마가 그냥 해 본 소리지.” 순자가 반론을 펼쳤다. “암튼 우디는 셰익스피어를 좋아해. 마이클 케인이 정신과 의사와 상담할 때도 햄릿을 인용하잖아.” 나는 못 본 장면이었다. “그랬어?” “뭘 본 거야? ‘결정을 못 내리겠어요. 숙부를 죽이지 못하는 햄릿처럼요’라고 하잖아.” 이런, 나보다 더 집중해 영화를 보는 고양이라니. 어이가 없었다. “그래, 너 잘났다.”
고양이랑 영화를 보며 이야기꽃을 피우게 될 줄은 몰랐다. 나는 건강염려증이 있는 앨런이 뇌종양에 걸리면 어떡하나 걱정하다가 기도를 하며 신에게 협상을 시도하는(오, 신이시여. 귀나 눈 정도로 하자고요. 뇌는 말고) 장면이 웃긴다며 낄낄댔고 순자는 미키(앨런)가 니체의 영원회귀 사상을 언급하다가 “그럼 그 아이스 쇼를 또 봐야 돼?”라고 투덜대는 장면이야말로 고급스러운 유머라며 잘난 척을 했다.
순자와의 대화 장면은 내가 상상으로 지어낸 얘기지만 그래도 늘 집안에서 오랜 시간을 같이 지내다 보니 어떨 땐 진짜 순자와 대화를 나눈 게 아닌가 하는 착각을 할 때도 있다. ‘새나 고양이 같은 동물들은 절대 울지 않는데 정작 수시로 우는 건 인간들뿐’이라는 슬픈 통찰도 순자 덕분에 얻게 되었다. 어떻게 알게 되었냐고? 비밀이다.
이제 충남 보령의 새집으로 이사를 가면 순자가 또 집필실로 와서 방해를 일삼을 것이다. 유난히 아침햇살이 좋은 작업실이기 때문이다. 어쨌든 우리는 이제 오랜 친구 사이가 됐으니, 잘 지내보자꾸나. 순자야.
편성준 작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치에 휘둘리는 혼돈의 法… 26일 법관회의 열린다
- “새 농약통인데 왜 그러냐…나도 억울” 백종원, 잇단 논란
- [속보] ‘뽀빠이’ 방송인 이상용 별세… 향년 81세
- ‘의총 대충돌’ 김 “강제 단일화 안돼”…권 “지도자라면 자신 버려야”
- ‘방송중단’에도 끝없는 구설…백종원, ‘닭뼈 튀김기’ 무허가 의혹
- “‘인스타그램’ 속 가짜 쇼핑몰 주의하세요”… 2030 피해속출
- 과기부 장관 “SKT 피해 보상금, SKT가 결정할 문제”
- “부자로 죽지 않겠다” 빌 게이츠, 2045년까지 재산 99% 기부
- 이재명 자사주 소각 의무화 공약에 ‘신고가’ 종목 등장
- 꽃길인가 했는데… 애태우다 독해진 ‘무소속’ 한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