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에서 못다 한 '한강 이야기', 산문집으로 출간

김윤미 yoong@mbc.co.kr 2025. 4. 22. 20:4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데스크]

◀ 앵커 ▶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든 노벨문학상 수상.

가장 주목받을 때 오히려 잠시 세상과 거리를 두고 조용히 다음 소설 집필에 들어간 한강 작가가 침묵을 깨고 산문집 <빛과 실>을 출간했습니다.

글을 쓰고, 정원을 가꾸는 고요한 일상이 작가의 일기와 사진에 오롯이 담겼는데요.

김윤미 기자가 소개합니다.

◀ 리포트 ▶

소설을 쓰고 나면 작가의 시간은 어떻게 흐를까.

[산문 '출간 후에' 中] "더 이상 눈물로 세수하지 않아도 된다."

"산 사람들보다 죽은 사람들을 더 가깝게 느끼지 않아도 된다."

'학살'을 탐구하고 '고통'에 천착한 글을 끝낸 작가는 언뜻 홀가분해 보입니다.

그러나 그는 이내 반문합니다.

[산문 '출간 후에' 中] "지금의 나는 누구인가? 이렇게 텅 빈, 헐벗어 있는 사람은?"

결국, 다시 소설을 쓰러 돌아옵니다.

그것만이 세상과 '연결'되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기념강연)] "내가 느끼는 생생한 감각들을 전류처럼 문장들에 불어넣으려 하고 그 전류가 읽는 사람들에게 전달되는 것을 느낄 때면 놀라고 감동합니다."

---

세상의 관심이 쏟아지자 오히려 세상과 거리를 두고 있는 작가는 자신이 글을 쓸 때 듣는 노래도 공개했습니다.

[앤드라 데이 '라이즈 업' (rise up)] "나는 일어날 거야 해처럼 떠오를 거야 통증을 무릅쓰고"

삼 년 전 마련한 열 평짜리 단층집에서 라일락과 청단풍을 가꾸며 기쁨을 얻는 소소하고도 고요한 일상.

이렇게 잘 지낸다고 독자에 전하는 인사처럼 작가는 일기와 함께 직접 찍은 사진도 공개했습니다.

그리고 사랑을 논하던 8살 어느 날처럼 글쓰기로 인생을 꽉 껴안고, 글쓰기로 사람을 만나고, 글쓰기로 충분히 살아보겠다고 약속합니다.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기념강연)] "1979년 4월의 아이는 썼습니다. '팔딱팔딱 뛰는 나의 가슴 속에 있지', 사랑의 정체에 대해서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우리의 가슴과 가슴 사이를 연결해주는 금실이지'"

MBC뉴스 김윤미입니다.

영상취재 : 임지환 / 영상편집 : 김지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취재 : 임지환 / 영상편집 : 김지윤

김윤미 기자(yoong@mbc.co.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replay/2025/nwdesk/article/6709093_36799.html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