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전문가와 함께 저출생 도민 지원체계 구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상북도는 22일 도청 회의실에서 김학홍 행정부지사 주재로 '저출생 극복 전문가 실무그룹' 전체 회의를 열고, 저출생 위기에 대한 지역 맞춤형 정책을 논의했다.
경북도는 이날 저출생 도민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기본 구상을 발표하고, 돌봄 일자리 고도화, 청년 및 경력 단절 여성의 경제·사회 참여 확대, 신혼부부 임대 및 내 집 마련 지원, 아이·가족 중심 여가문화 기반 확대 등 다양한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상북도는 22일 도청 회의실에서 김학홍 행정부지사 주재로 ‘저출생 극복 전문가 실무그룹’ 전체 회의를 열고, 저출생 위기에 대한 지역 맞춤형 정책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국책 및 지역 연구기관, 공공기관, 대학, 저출생 대응 전문가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는 ▴일자리‧돌봄, ▴주거‧기반, ▴돌봄 로봇‧산업 등 분야별 실무 분과로 구성된 전문가 그룹이 참여한 가운데,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경북도의 실행 전략과 세부 과제를 구체화하는 데 중점을 뒀다.
경북도는 이날 저출생 도민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기본 구상을 발표하고, 돌봄 일자리 고도화, 청년 및 경력 단절 여성의 경제·사회 참여 확대, 신혼부부 임대 및 내 집 마련 지원, 아이·가족 중심 여가문화 기반 확대 등 다양한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이어 진행된 분과별 논의에서는 부처 간 돌봄 사업의 연계성 강화, 육아로 인한 경력 단절 방지를 위한 단기 일자리 매칭, 돌봄 산업 생태계 조성을 통한 일자리 및 투자 유치, 결혼·출산·육아 패키지 규제 프리존 조성 등 현실적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제안됐다.
경북도는 전문가 그룹이 발굴한 정책을 바탕으로 청년과 신혼부부, 부모 세대를 아우르는 생애 주기별 도민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내년도 예산에 반영해 일부 과제를 시범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다.
이재희 육아정책연구소 팀장은 “이번 대응안은 ‘만남–결혼–출생–돌봄’이라는 생애 전 과정을 고려한 유기적 통합 모델”이라며, “단순한 출산 장려를 넘어 실질적 정착과 양육 환경을 조성하려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학홍 경상북도 행정부지사는 “저출생과 인구 구조 변화는 단순한 사회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적 위기”라며, “경북이 선도적으로 해결책을 마련하고, 이를 전국으로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북도는 2025년 APEC 정상회의의 핵심 의제인 인구구조 변화 대응에도 실질적 기여를 할 수 있도록 관련 정책 발굴과 실현에 더욱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김종우 기자(=경북)(jwreport@naver.com)]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민발안제 넣는 원포인트 개헌부터
- '탄핵반대' 단식 인사 만난 김문수…홍준표·나경원도 "파면 유감", "아쉽다"
- 국힘만의 '빅4' 쟁탈전…안철수 "이재명 막는다면 기꺼이 뻐꾸기 되겠다"
- [단독] 김성훈 경호차장, 대행 사퇴 확정…'尹 사병 멍에' 쓴 경호처, 고강도 감사 나설까?
- 권성동 "이재명, 국정 파괴로 코리아 디스카운트 만들어"…尹 비상계엄은?
- 김동연 "2030 '응원봉 여성' 호명 꺼리는 민주당, 비겁하다"
- '장애인의 날'에 장애인단체 때린 이준석…"장애인 혐오"
- 윤석열 "계엄, 칼 같아…칼 썼다고 무조건 살인 아냐"
- '소수자 포용'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마지막까지 "가자·우크라 평화"
- 김동연 "응원봉 든 2030 여성에 감사…정치권 '젠더 갈라치기' 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