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분산투자 ETF, 관세쇼크에 '피난처'로 뜬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기술주를 중심으로 글로벌 증시가 요동치면서 세계 각국에 분산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 상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분산 투자 ETF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보이면서 'ETF계 관세 피난처'로 떠오르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 기술주 관련 ETF는 수익률 폭락
日·브라질 등 각국 상품 분산투자
플러스 수익···상대적 우수한 성과
서학개미들은 고위험주 베팅 여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기술주를 중심으로 글로벌 증시가 요동치면서 세계 각국에 분산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 상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관세로 인한 부정적 영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미국 중심 포트폴리오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22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분산 투자 ETF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보이면서 ‘ETF계 관세 피난처’로 떠오르고 있다. 코스콤에 따르면 지난 1월 20일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15번의 관세 이벤트 동안 가장 높은 성과를 보인 배당 주식형 ETF는 ‘SPDR S&P International Dividend ETF(DWX)’로 이 기간 평균 수익률은 0.75%로 집계됐다. 해당 상품은 중국 A주(상하이와 선전 증시에서 거래되는 중국 본토에 기반을 둔 회사의 주식 종목)와 미국을 제외한 글로벌 배당주에 골고루 투자하는 상품이다. 지난 15일 기준 일본(23.5%), 캐나다(13.2%), 영국(10.7%) 순으로 담고 있다.
개별 국가로는 대표적인 신흥시장인 브라질의 투자 매력도가 올라가고 있단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취임 이후 브라질 소형 주식에 투자하는 상품인 ‘VanEck Brazil Small-Cap ETF (BRF)’과 아이셰어즈 MSCI Brazil Small-Cap ETF(EWZS)의 평균 수익률은 각각 0.85%, 1.27%로 나타났다. 박유안 KB증권 연구원은 “미국 주식과의 상관 계수가 신흥 시장 내 가장 낮아 포트폴리오 분산 효과를 누릴 수 있다”며 “브라질의 대외 의존도가 낮은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반면 올 들어 전날까지 미국 대표지수 S&P500을 그대로 추종하는 ‘SPDR S&P ETF(SPY)’의 수익률은 -9.91%로 나타났다. 반면 기술 업종을 제외한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프로셰어즈 S&P 500 ex-Technology(SPXT)의’ 같은 기간 수익률은 -5.51%로, 상대적으로 낮은 하락폭을 보였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100 지수를 기반으로 하는 ETF의 경우 성과 차이가 더욱 확연했다. 기술 업종을 제외한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First Trust 나스닥100 ex-Tech sect(QQXT)’는 올 들어 2.96% 하락한 반면 나스닥100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Invesco QQQ Trust(QQQ)’의 경우 연초 대비 13% 가량 빠졌다. 나스닥100지수를 3배 추종하는 ‘프로셰어즈 울트라프로 QQQ(TQQQ)’는 같은 기간 수익률이 연초 대비 -42.75% 급락했다. 트럼프 정부의 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 등으로 기술 업종을 중심으로 증시 하락이 나타나면서 수익률 격차가 벌어졌다.
이 같은 상황에서도 국내 서학개미(미국 주식 개인 투자자)들은 여전히 기술주 중심의 고위험 투자를 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SEIBro)에 따르면 이달 들어 전날까지 서학개미들은 TQQQ를 3억 8710만달러(약 5515억 원)어치 순매수했다. 이는 이 기간 순매수 3위에 달하는 금액이다. 순매수 1위 역시 미 증시 대표 반도체 지수인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를 3배로 추종하는 ‘SOXL(약 1조 5094억 원)’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취임 이후 개인투자자들의 투자 난이도가 올라갔다”며 “포트폴리오 다변화로 틈새 전략을 노려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유민 기자 ymjeong@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이 안 낳는 여자 감옥 보내야'…여고 수업 중 남자 선생님 녹음 파일 들어보니
- '제작진 교체하고 출연자 하차시켜'…방송 거물된 백종원, 이번엔 '갑질 의혹' 터졌다
- '쯔양 사건' 재배당·수사관 교체에 …경찰 '논란 생겨 유감, 오해 있어'
- '신분당선 타는 여성들 조심'…바지 지퍼내리고 중요 부위 노출한 '군복男'
- 수원 아파트서 '또' 모녀 추정 2명 숨진 채 발견…19일 만
- 인순이 “너무 예뻐서 그만”…김종민 아내 얼굴 공개 논란에 ‘사과’
- '콜드플레이가 정해준 다음 대통령은 나경원?'…분노한 팬들, 무슨 일?
- '우리 사귀잖아'…또래 여성 부모 자산 100억 빼돌린 20대
- '선수 출신은 반칙이지'…아들 운동회서 전력질주한 '마미로켓' 누군지 보니
- 한국인 관광객, 필리핀서 강도 총격에 사망…'가방 뺏으려는 강도에 저항하다 변 당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