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 제조업체 64.8% “미국관세 피해”… 상의 설문조사 결과

김형수 기자 2025. 4. 22. 15: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시흥지역 제조업체 상당수가 미국의 관세 조치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시흥상공회의소(상의)에 따르면 상의가 지난 8~16일 지역 내 철강·알루미늄, 자동차부품, 반도체(장비) 업종을 포함한 제조업체 68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 제조업체 중 64.8%가 '미국의 관세 조치로 피해가 크다'고 대답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출 감소·원가 부담 심화… “정부 운영자금·세제 지원 시급”
시흥상공회의소 전경. 시흥상공회의소 제공


시흥지역 제조업체 상당수가 미국의 관세 조치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한국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 상호주의 관세 부과에 이어 90일간 10% 유예한다고 발표했다.

22일 시흥상공회의소(상의)에 따르면 상의가 지난 8~16일 지역 내 철강·알루미늄, 자동차부품, 반도체(장비) 업종을 포함한 제조업체 68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 제조업체 중 64.8%가 ‘미국의 관세 조치로 피해가 크다’고 대답했다.

이어 22.1%는 ‘현재 파악 중’이라고 밝혔고 ‘별다른 영향이 없다’는 응답은 8.8%에 그쳤다.

미국의 관세 인상에 따른 구체적인 피해로는 ▲수입 원자재 및 부품 비용 증가(25.6%) ▲제품 가격 인상에 따른 매출 감소(24.0%) ▲이익 감소 및 원가 부담 심화(18.2%) ▲미국 수출 거래 축소 또는 중단(14.9%) 등을 꼽았다.

업종별로는 철강·알루미늄 제조업체는 수출량 감소와 매출 하락, 관세 부담 증가 등을 우려했고 매출 감소율은 20~30%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자동차부품 제조업체 역시 원자재 가격 상승과 자동차 판매량 감소 등으로 인한 원가 부담 심화와 매출 감소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 상승에 따른 부담에 대해 70.6%는 ‘다소 크거나 매우 크다’고 응답했다.

주요 고충 사항으로는 ▲수입 원가 상승(41.1%) ▲수출 가격 경쟁력 약화(20.5%) ▲손익 예측 어려움(15.2%) 등의 순으로 대답했다.

관세 부과로 인한 애로 사항으로는 ▲수입 원자재·부품 비용 증가(34.5%) ▲미국 수출 지연 또는 감소(20.9%) ▲물류비 증가 및 통관 지연(12.7%) ▲생산 일정 차질(10.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응 전략으로는 ▲생산 비용 절감 및 운영 효율화(37.4%) ▲수출 시장 및 품목 다변화(15.2%) ▲정부 지원사업 및 전문가 컨설팅 활용(10.1%) 등을 추진한다고 응답했다.

제조업체들은 정부에 대해 ▲운영자금 및 보험 지원(34.7%) ▲물류비 절감 지원(25.0%) ▲관세·통관 절차 간소화 및 정보 제공(16.1%) 등을 요청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 제조업체 관계자는 “국제 정세 불안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금융권 대출이 위축되면서 자금 운용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며 “정부가 운전자금 지원을 확대하고 저금리 대출 프로그램을 마련해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시흥상의 박영식 국장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제조업체들의 목소리를 정부와 관계기관 등에 적극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김형수 기자 vodokim@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