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47] 이재명 “세종은 행정수도, 대전은 과학수도…K-방산은 신성장동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첫번째 지역 맞춤형 공약을 공개했다.
이 후보는 충청권을 각각 행정수도와 과학수도로 조성하겠다며 교통 인프라 투자 등을 약속했다.
이 후보는 이날 대전에 위치한 국방과학연구소 방문에 맞춰 충청 지역 공약과 방위 산업 진흥 정책 등을 함께 발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첫번째 지역 맞춤형 공약을 공개했다. 이 후보는 충청권을 각각 행정수도와 과학수도로 조성하겠다며 교통 인프라 투자 등을 약속했다. 아울러 방위산업 육성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지원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이 후보는 17일 대전 유성구 국방과학연구소(ADD) 방문을 마친 뒤 취재진에 “국토 균형발전, 수도권 집중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서 꼭 필요한 일이다. 행정수도 건설은 지금까지 계속 추진했던 정책”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날 대전에 위치한 국방과학연구소 방문에 맞춰 충청 지역 공약과 방위 산업 진흥 정책 등을 함께 발표했다.
이 후보는 충청을 행정·과학 수도로 만들겠다는 생각이다. 이 후보는 “대한민국 균형발전의 심장, 충청을 행정·과학 수도로 만들겠다”며 “세종을 행정수도의 중심으로 완성하고 제2차 공공기관 이전을 조속히 추진하겠다. 대전을 한 차원 높은 과학 수도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는 △제2차 공공기관 이전 조속 추진 △국회 세종의사당 및 대통령 세종 집무실 임기 내 건립 △삭감된 R&D 예산 대폭 증액 △대전(AI·우주산업)-세종(스마트행정)-충북(바이오·반도체·이차전지)-충남(디스플레이)을 잇는 첨단산업벨트 구축 △청주공항 활성화 및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건설 등 교통인프라 확충 △환황해권 해양관광벨트와 충북 휴양·힐링 관광벨트 조성 등이다.
이 후보는 “완전한 수도 이전 문제는 헌법 개정 문제는 물론이고 또 국민적 공감 과정도 필요하기 때문에 사회적 합의 거치는 과정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우리가 버리지 말아야 할 원칙은 국가 균형발전이라는 가장 중요한 핵심 가치”라고 설명했다.
이 후보는 이날 방산 관련 공약도 발표했다. 이 후보는 “강력한 제조업을 기반으로 AI 첨단기술로 무장한 K-방산이야말로 우리 경제의 저성장 위기를 돌파할 신성장 동력이자 국부 증진의 중요한 견인차”라며 △대통령 주재 방산수출진흥전략회의 정례화 △방산 지원 정책금융 체계 재편 △방산 수출 기업 R&D 세액 감면 △K-방산 스타트업을 육성 △방산 병역특례 확대 등을 약속했다. 아울러 선택적 모병제 등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후보는 “앞으로 미래 경제는 첨단 기술이 중심이 될 것이고 그중 방산도 핵심 부분”이라며 “정부의 가장 중요한 일은 연구·개발 지원이다. 연구·개발 예산 증액과 새로운 영역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이 후보는 오는 18일 오전 대구 대현도서관을 찾아 글로벌 콘텐츠 기업들과 대구 지역 웹툰기업, 작가와의 현장 간담회에 참여하는 등 문화 콘텐츠 산업 육성에 대한 청사진을 밝힐 예정이다. 아울러 21일에는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를 방문해 국내 주식시장 활성화에 대한 대응책을 점검할 계획이다.
최기창 기자 mobydic@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비자 “韓 지불결제 시장, 개방성 확보 급선무”
- 분산특구 입주 데이터센터, 까다로운 평가요소 모두 없앤다
- 세계 OLED 모니터·패널 모두 '삼성 1위'
- 'R&D 노동 유연화' 뺀 반도체특별법, 신속처리안건 지정
- 카카오, AI 중심 재편 속 잡음 커져…내부 반발 돌파할까
- “물로만 머리 감고 세제 없이 빨래”… 허리띠 졸라 매는 프랑스인들
- [20회 스마트금융콘퍼런스] 신승예 삼성카드 팀장 “모니모, 더 넓은 금융의 세계로”
- [20회 스마트금융콘퍼런스] 김규태 우리은행 부장 “우리WON뱅킹, 증권·보험 시너지로 유니버설
- [20회 스마트금융콘퍼런스]김연순 NH농협은행 센터장 “언제 어디서 누구나 필요한 금융앱으로”
- [20회 스마트금융콘퍼런스] 이성웅 하나은행 부서장 “하나원큐, DT 통해 '자산관리 명가' 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