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리 동결…"올해 성장률 1.5% 하회할 것"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은행이 올해 성장률이 지난 2월 성장율 전망치 1.5%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4월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도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대목으로 해석된다.
그러면서 "향후 통화정책은 성장의 하방리스크 완화를 위한 금리인하 기조를 이어나가되, 대내외 정책 여건의 변화와 이에 따른 물가, 가계부채 및 환율의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 시기 및 속도 등을 결정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한국은행이 올해 성장률이 지난 2월 성장율 전망치 1.5%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4월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도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대목으로 해석된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17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4월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종전과 같은 2.75%로 동결했다. 한·미 금리차는 1.75%포인트로 유지됐다. 금통위는 지난해 10월과 11월 연속 금리 인하에 나선 후 올해 1월 한 템포 쉬고 2월에 다시 금리를 낮춘 바 있다.
이번 통화정책방향문에서 금리 동결 이유에 대해 금통위는 " 1분기 경기 부진 및 글로벌 통상여건 악화로 성장의 하방위험이 확대됐다"면서도 "미국 관세정책 변화, 정부 경기부양책 추진 등에 따른 전망경로의 불확실성이 크고, 환율의 높은 변동성과 가계대출 흐름을 살펴봐야 한다"고 했다.
국내 경제 상황에 대해서는 "국내 경제상황을 보면, 정치 불확실성 지속, 통상여건 악화 등으로 내수와 수출이 모두 둔화되면서 성장세가 예상보다 약화됐다"며 "수출은 통상여건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어 "금년 성장률은 지난 2월 전망치(1.5%)를 하회할 것으로 보이나, 향후 무역협상의 전개양상, 추경의 시기 및 규모 등과 관련한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고 덧붙였다.
환율에 대해서는 "주요 가격변수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됐다"며 "미국 관세정책 및 중국의 대응, 증권투자자금 유출입 등에 영향받으며 단기간에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가 반락했다"고 풀이했다.
가계부채에 대해서는 "주택시장에서는 서울 지역의 가격 오름세 및 거래량이 크게 확대되었다가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이후 둔화됐다"면서 "가계대출은 낮은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최근 늘어난 주택거래 영향으로 증가규모가 일시적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끝으로 "국내경제는 물가상승률이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나 글로벌 통상여건 악화로 성장의 하방위험이 증대되고 전망경로의 불확실성도 크게 확대됐다"면서 "금융안정 측면에서는 높은 환율 변동성과 함께 금융완화 기조로 인한 가계부채 재확대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향후 통화정책은 성장의 하방리스크 완화를 위한 금리인하 기조를 이어나가되, 대내외 정책 여건의 변화와 이에 따른 물가, 가계부채 및 환율의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 시기 및 속도 등을 결정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jh32@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임신설 홍진영, 배 얼마나 나왔길래 "곧 낳는다고"
- YB 윤도현, '흰수염고래' 리메이크 QWER에 "신뢰 있다"
- '순풍' 의찬이, 2세 연하 아내와 근황…"결혼 5년차"
- "2028년 결혼운"…박나래, 미래 남편 얼굴 실망
- 전진·류이서, 5년째 애 안 낳는 이유 "궁합 어이없어"
- 황은정, 윤기원과 이혼후 "우울증 폭식 14㎏↑"
- 이장우, 혹평 카레집 폐업 "망하고 반성"
- 곽튜브 "2세는 아들…아직 아빠 준비 안돼"
- "사막에서 물 만드는 기술 개발"…노벨화학상에 미국·일본·호주 교수 3人(종합)
- 김지석·이주명 결혼 임박했나…하와이 여행·커플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