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더 안 빠지지?" 생각 들 때… '네 가지' 시도하면 효과 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다이어트를 하다 보면 어느 순간 정체기가 찾아온다.
이때 다이어트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정체기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받아들이며 낙심하지 않는 게 중요하다.
우리 몸은 항상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다이어트를 할 때 체중을 그래프로 기록해보면 '계단 형태'가 된다.
다이어트 정체기에서 빨리 벗어나려면 네 가지를 시도해보는 게 좋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식습관 점검=식습관이 다이어트 초심(初心)을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다이어트를 하다 지쳐, 자신이 참던 케이크·과자 같은 음식을 조금씩 계속 먹는 사람이 있다. 이런 음식은 양이 작아도 고칼로리인 경우가 많아 정체기를 유발할 수 있다. 간식으로는 방울토마토·삶은 브로콜리 등을 추천한다. 식욕을 이기지 못해 한 번 과식·폭식한 뒤 '역시 나는 안 돼'라며 다이어트를 포기, 정체기를 받아들이기도 한다. 하지만 겨우 하루로 공들인 다이어트를 포기할 필요는 없다. 많이 먹은 날은 밤에 좀 더 걷고, 다음날 좀 덜 먹으면 된다.
▷단백질 섭취로 기초대사량 늘리기=다이어트 할 때 지방뿐 아니라 근육도 빠진다. 근육이 감소하면 기초대사량이 줄어 정체기가 올 수 있다. 섭취 음식에서 단백질 비율을 높이면 근육 양을 늘리는 데 도움된다. 매일 달걀 한 개·닭가슴살 한 덩어리를 먹었다면, 달걀 두 개·닭가슴살 한 덩어리·우유 한 컵 정도로 단백질을 더 많이 섭취해보는 게 좋다.
▷'힘들다' 생각될 정도로 운동 강도 높이기=식습관에 문제가 없다면 운동 강도를 높인다. 매일 같은 강도로 운동하면 처음에는 힘들다고 느끼지만, 나중에는 쉽게 한다. 몸이 적응한 것이다. 땀이 나고 '힘들다'고 생각되는 정도로 강도를 높이는 게 효과적이다.
▷6개월 버티기=체중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신체 기준점을 '체중조절점'이라고 한다. 체중조절점을 바꾸지 않고서는 항상성 때문에 체중이 제자리로 돌아갈 수밖에 없는데, 체중조절점이 바뀌는 데 6개월 정도가 걸린다. 낙심하지 말고 6개월 이상 올바른 다이어트를 하며 버티면 체중이 어느 순간 줄어든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두 달 만에 26kg 감량” 정석원, 다이어트 비결? ‘이것’ 먹으면서 뺐다
- 셀트리온,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아이덴젤트’ 美 허가 획득
- “30분만 해도 살 쭉쭉 빠져”… 최화정이 추천한 ‘이 운동’, 뭘까?
- 미달이 김성은, 한때 ‘이것’ 중독 고백… “정신줄 놓고 싶었다”
- “아침에 잰 몸무게 40kg, 현기증 와” 오마이걸 승희, ‘심각한 저체중’ 우려… 건강에 치명적?
- “늙는 것도 서러운데”… 특히 조심해야 할 7가지 질병, 뭘까?
- “서인영 맞아?” 10kg 찌고, 코 모양도 달라졌다는데… 모습 보니?
- “긴 연휴 끝나니 더 피곤해” 음식으로 해소 가능… 뭔지 보니?
- 살 빼는 약인 줄 알았더니… 위고비·마운자로, ‘이 병’에도 효과
- 심리 중재 프로그램 ‘항해, 향해’ 워크샵으로 초대합니다 外 [아미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