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교직원 72% "계엄사태, 교육자료로 써야"…현장학습 예정 45%뿐 [지금 교실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교직원 10명 중 7명이 '12·3 비상계엄' 사태를 민주주의 교육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현장체험학습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올해 현장체험학습을 시행할 예정이라는 응답은 절반도 되지 않았다.
우선 12·3 비상계엄과 관련해선 응답자의 71.7%가 '민주주의 교육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이런 안전에 대한 우려 여파로 '올해 현장체험학습을 실시한다'는 응답은 45.7%(2867명)에 그쳤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장학습 안전사고 경험” 66%
올 실시예정 답변 절반도 안 돼
행정업무 경감책 만족도 ‘미미’
우선 12·3 비상계엄과 관련해선 응답자의 71.7%가 ‘민주주의 교육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매우 필요하다’는 응답은 45.7%였고,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16.2%에 불과했다.
앞서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회복성, 젊은 세대의 민주주의에 대한 신념 등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부분이 교육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교직원 중 상당수도 교육적 가치가 크다고 보는 것이어서 향후 수업에서 활용되는 경우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
경기의 한 초등학교 교사는 “대통령 권력과 그 권력 행사에 대해 시민 등이 어떻게 대처했는지 보여줄 수 있는 생생한 사례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근 학교 현장의 화두인 현장체험학습에 대해선 교직원의 90.9%가 ‘안전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안전사고를 경험한 비율은 65.6%에 달했다.
이런 안전에 대한 우려 여파로 ‘올해 현장체험학습을 실시한다’는 응답은 45.7%(2867명)에 그쳤다. 21.1%는 ‘법적·제도적 안전이 보장될 때까지 유보한다’, 15.4%는 ‘검토 중’이라고 했고, ‘전면 중단한다’는 응답은 14.5%였다. 학교에서 소풍이 사라지는 추세인 것이다.
교육 당국은 교사들이 교육 업무에 전념할 수 있도록 2023년부터 행정업무 경감 대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현장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교직원의 75.1%(4727명)는 ‘교육부·교육청 대책에 만족하지 않는다’고 했고, ‘만족한다’는 응답은 6.4%(403명)에 불과했다.
행정업무 경감을 위해 개선해야 할 점으로는 △외부 강사 채용관리 △통계조사·검사 업무 개선 △학교행정인력 확충 △각종 위원회 통합·개선 등이 꼽혔다.
이밖에 올해 2월 대전에서 발생한 초등생 피살사건과 관련, 교육부의 재발 방지 대책 중 가장 실효성 있는 대책(복수응답)은 ‘폭력행위자 긴급분리조치’(61.4%)라 답한 이들이 많았다. 이어 학교전담경찰관·하교지도사 등 인력 확충(53.4%), 돌봄 대면인계 의무화(31.6%), 위기 교원 휴직·복직 엄격 관리(28.7%) 등의 순이었다.
백 의원은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행정업무 경감 관련 입법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백 의원은 “학부모와 학생, 교직원 등 모든 학교구성원이 체감할 수 있는 현장 중심의 실효성 있는 교육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세종=김유나 기자 yoo@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애들, 남편 있어도 행복하지 않았다” 장윤정, 가족도 이해 못 하는 아픔 고백
- “이규혁한테 속았다, 결혼 후회” 손담비, 눈물 쏟으며 밝힌 남편 ‘만행’
- 김혜경 여사, ‘90도’ 인사하는데…‘李 선배님’ 권성동, 못 본 척?
- 이게 가능해? 32년째 은행 이자 20% 받고 있는 송은이, 놀라운 재테크 비결
- “아들 유전자 검사…이게 인간이냐” 외도 남편 김학래 쓰레기 인성 폭로한 임미숙
- 날라리인 줄 알았던 소지섭, 어려웠던 집안 일으켜 세운 효자였다
- 불륜 남편에 위자료 40억 주고 이혼?…요리연구가 이혜정 파경설, 진실은
- “연봉 2억2000만원, 사택에 휴가비까지?”…여기가 진짜 ‘넘사벽’ 직장입니다
- 박미선 생각에 결국 눈물 쏟은 이봉원…불화설·이혼설 모두 날렸다
- 생방 중 김혜경 여사 머리 밀친 카메라…대통령실 “각별한 주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