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도 볼 수 없는 작품, 흙으로 빚어낸 삶
[주간함양 임아연]
따스한 봄 햇살에
크게 기지개를 켜본다
하늘 아래 매발톱꽃
창밖에는 담쟁이
노박 덩굴 늘어지고
물가에는 노란 꽃창포
바닥에는 네잎클로버와 고마리
참다래나무 덩굴 어우러진 길목에는
연두빛 오디가 주렁주렁 달렸다
벽오동나무 하늘로 오를까나
선선한 봄바람
굴참나무 여린 잎에 스며든다
사계절 꽃이 피고 지는 그곳!
내 가족의 이야기를 담아
덕암지의 기억을 빚다
작가의 말 중에서
경남 함양군 수동면 상백리 골목에 위치한 고즈넉한 한옥집은 이홍경 도예가가 태어난 생가이자 그의 작업실이다. 매년 봄 이맘때가 되면 푸릇하게 옷을 갈아입은 잔디와 붉게 핀 자목련이 한옥의 정취를 더하는 공간. 이곳에서 이홍경 작가는 흙을 빚는다. 삶을 빚는다.
이 작가는 오는 4월 23일부터 29일까지 서울 종로구 경인미술관에서 개인전을 연다. 이어 5월 2일부터 7일까지 함양문화예술회관에서도 전시가 예정돼 있다. 오랜만에 여는 개인전을 앞두고 막바지 전시 준비로 분주한 그는 이번 전시를 통해 지곡면 덕암지에서 보낸 가족과의 추억을 담아낼 예정이다.
가족의 추억 담긴 '덕암지'
덕암지는 그에게 남다른 곳이다. 산과 논밭으로 둘러싸인 작은 저수지 곁에서 26살에 신접살림을 시작했다. 지곡면 개평마을 출신인 남편(노종환)이 손수 지은 집이다. 그곳에서 아이 둘을 낳아 키웠다.
자연 말고는 주변에 아무것도 없는 산골마을이었지만 사랑으로 충만한 곳이었다. 아이들과 맨발로 논둑길을 산책하고, 온몸으로 함께 비를 맞기도 했다. 겨울엔 눈사람을 만들고, 벽난로 옆에서 손뜨개를 해 아이들을 입혔다. 소소한 일상의 평화로 물들었던, 가장 행복했던 공간이다.
이홍경 작가는 "15년 동안 살았던 덕암지에서의 추억은 살면서 겪는 크고 작은 일들 속에서 묵직하게 나를 잡아주는 힘이 됐다"며 "덕암지에서 지낸 시간은 삶의 가장 큰 밑거름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지금껏 보여준 적 없었던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대학에서 금속공예를 전공하고 전국 공모전에서 상을 받을 정도로 남다른 손재주와 감각이 있던 그가 도예의 길에 접어든 것은 졸업 후 고향 함양에 돌아오면서부터다.
함양에서 미술학원을 운영하며 도자기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그는 거창에도 미술학원을 열고 함양과 거창을 오가며 활동하기 시작했다. 거창종합사회복지관에서 주부들을 대상으로 도예수업 진행한 것을 계기로 지금까지 도예가로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 1970년 수동면 상백리 출생
- 상내백초등학교(폐) 졸업
- 안의중 · 안의고 졸업
- 계명대학교 공예과 전공
- 샛별초 미술 전담교사
- 홍세라믹 스튜디오 대표
- 옥계풍류 회원
- 남천도자 핸드페인팅 회원
- 개인전 및 전시기획 21회, 그룹전 단체전 33회
▲ 전시회 일정
- 4월23일~29일 경인미술관 제5전시관 (서울 종로구 인사동10길 11-4)
- 5월2일~7일 함양문화예술회관 제2전시실 (함양읍 필봉산길 55)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함양뉴스에도 실렸습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무죄' 선고에도, 박정훈 대령 끝까지 괴롭히겠다는 국방부의 속내
- 최상목 "폰 바꾼 적 없다"더니... 5분 만에 나온 '교체 기록'
- 주인 잃은 개 119에 신고하고 3시간 뒤... 눈물이 쏟아졌다
- 대선 왜 나오냐고? 국회 밖 권영국의 '출마할 결심'
- '드럼통 나경원'에 쏟아지는 비판, 수천만원 주유비 논란도 재소환
- 이재명, 미국측 "불법 비상계엄" 어떻게 이끌어냈나... <결국 국민이 합니다>에 밝힌 '막전막후'
- 시 읽기 좋은 계절, 라이너 마리아 릴케를 권합니다
- 국민의힘 대선 1차 경선에 8명 진출... 오는 22일 4명으로 압축
- 이재명 대선 싱크탱크 "1가구 2주택자 면세 검토"
- [오마이포토2025] "국힘은 대선후보 낼 자격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