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부진한 중국시장 AS로 공략

허경구 2025. 4. 15. 00: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현대자동차가 중국 현지 업체와 손잡고 사후 관리(AS) 강화에 나선다.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중국 시장에서 서비스 강화를 통해 브랜드 경쟁력을 높이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중국 합작법인 베이징현대는 최근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 징둥닷컴 산하 차량 관리 플랫폼 '징둥양처'와 전략적 협약을 체결했다.

베이징현대가 중국 시장에서 사후 관리 서비스를 강화하는 이유는 브랜드 신뢰도를 높이려는 차원으로 분석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양질의 서비스로 경쟁력 강화
“브랜드 신뢰 높일 것” 기대
이용석 베이징현대 사업관리본부장(상무)와 징둥량처 관계자가 지난 11일 열린 전략적 협력 협약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베이징현대 홈페이지 캡처


현대자동차가 중국 현지 업체와 손잡고 사후 관리(AS) 강화에 나선다.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중국 시장에서 서비스 강화를 통해 브랜드 경쟁력을 높이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중국 합작법인 베이징현대는 최근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 징둥닷컴 산하 차량 관리 플랫폼 ‘징둥양처’와 전략적 협약을 체결했다. 징둥양처는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인 징둥닷컴의 산하 자동차 관리 플랫폼이다. 자동차 마케팅과 판매, 애프터 세일즈, 온라인 쇼핑몰 등 채널을 갖고 있는 회사다. 중국 전역에 1400곳 이상의 차량 수리 지점과 1만여 거래처도 보유하고 있다.

베이징현대는 징둥양처의 서비스 네트워크를 활용해 중소도시 중심으로 정비·보증·수리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우선 5개의 서비스 매장에서 수리, 정비, 정품 액세서리 판매 등을 진행하고 향후 전국으로 확장하기로 했다. 베이징현대는 중국 내 500여 곳에서 서비스 매장을 운영 중이다. 이번 협약으로 사후 관리 네트워크가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베이징현대가 중국 시장에서 사후 관리 서비스를 강화하는 이유는 브랜드 신뢰도를 높이려는 차원으로 분석된다. 베이징현대 관계자는 “경쟁이 치열한 자동차 시장에선 좋은 차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신뢰를 얻을 수 있는 브랜드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현지 전략형 순수 전기차를 출시할 예정인 점도 영향을 줬다. 베이징현대 관계자는 “새로운 에너지 시대에는 서비스가 브랜드 경쟁의 핵심 요소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베이징현대는 올해 순수전기차 1종을 출시하고, 내년에는 주행거리 확장형 모델을 포함해 3종의 신에너지 차량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현대차는 순수 전기차, 하이브리드 등 파워트레인 다변화를 통해 중국 시장 점유율 확대를 노린다. 중국에서 현대차 판매 점유율은 2020년 2.3%(44만대 판매)였으나 2021년(35만대) 1.8%로 줄었다. 이후 2022년 25만대, 2023년 24만2000대, 2024년 12만5000대가 판매되며 하락세를 걷고 있다.

허경구 기자 nine@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