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 가속화하는 바이러스… 국내연구진, 신약 후보 물질 발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부 바이러스 감염이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가 최근 지속해서 발표되고 있다.
국내 연구팀이 새로운 치료 후보 물질로 바이러스 감염과 알츠하이머병 사이 연결고리를 끊는 데 성공했다.
고려대학교 의대 융합의학교실 신옥 교수 연구팀은 바이러스 감염과 알츠하이머의 연관성을 밝히고, 신약 후보물질 ALT001을 활용해 연결을 차단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려대학교 의대 융합의학교실 신옥 교수 연구팀은 바이러스 감염과 알츠하이머의 연관성을 밝히고, 신약 후보물질 ALT001을 활용해 연결을 차단했다.
알츠하이머는 가장 흔한 치매 유형으로, 최근 연구에 따르면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1형(HSV-1) 등 신경 감염 바이러스가 퇴행성 뇌질환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만, HSV-1 감염이 퇴행성 뇌질환을 어떻게 가속화하는지는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먼저 HSV-1 감염이 뇌 면역세포인 미세아교세포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생쥐와 인간 유래 미세아교세포, 미세아교세포-신경세포 공배양 모델, 뇌 오가노이드(인공 미니 뇌 모델) 등 다양한 실험 시스템을 통해, HSV-1 감염이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를 제거하는 세포 내 정리 과정인 미토파지를 방해하고 그로 인해 미토콘드리아 기능이 저하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해당 감염이 뇌 속에 쌓이는 단백질 덩어리인 아밀로이드 응집체를 제거하는 식세포작용을 방해해 퇴행성 뇌질환을 가속화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미토파지 촉진제 ALT001은 HSV-1 감염을 억제하고 신경 염증을 완화하는 효과를 보였다. ALT001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미세아교세포의 미토파지 기능을 정상화했다.
그 결과, 바이러스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동시에 신경 염증 반응을 감소시켰다. 미세아교세포가 아밀로이드 응집체를 더 잘 제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도 확인됐다.
신옥 교수는 “이번 연구는 바이러스 감염이 알츠하이머를 포함한 퇴행성 뇌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음을 분자 수준에서 입증한 동시에,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며 “특히 미세아교세포에서 HSV-1 감염이 미토파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것은 기존 신경세포 중심 연구와는 차별화되는 성과로, ALT001은 향후 다양한 바이러스성 신경질환 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테라노스틱스(Theranostics)에 최근 게재됐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셀트리온, 다발성골수증 치료제 국내 임상 3상 승인
- 이엔셀-한국생명공학연구원, ‘AAV 유전자치료제’ 개발 계약 체결
- 오가논, 자궁내막증 신약 임상 2상 실패… 개발 중단
- 해운대백병원, 30대 직장암 간 전이 환자 고난도 복합 로봇수술 성공
- 바이오킨·BMS, 임상 3상서 ADC 항암제 ‘이자브렌’ 효과 확인
- “계속 연애 실패”… 솔로 생활 길어진다면 ‘이 액세서리’ 피하세요
- 운동 후 근육통과 함께 ‘이 증상’ 나타나면, 바로 병원 달려가세요
- 네 달간 ‘이것’ 안 먹으면, 운동 없이 6kg 뺄 수 있어… 뭘까?
- “이상적인 남성 몸매는?” 조사해보니 ‘이 BMI 수준’이었다… “의외네”
- FDA, 리제네론 다발성골수종 치료제 ‘리노지픽’ 승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