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폭격에 뉴욕증시 마진콜 우려…"증거금 마련에 금도 팔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관세 폭탄에 뉴욕증시가 급락한 가운데 헤지펀드들이 2020년 코로나19 퍈데믹 이후 최대 규모의 마진콜에 직면했습니다. '최악의 시나리오'라는 평가를 받는 트럼프 상호관세는 이틀 동안 뉴욕증시 시가총액 6조6천억달러(약9천600조원)를 날려버렸습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현지시간 5일 복수의 수소식통을 인용해 월가 은행들이 고객사 헤지펀드들에게 더 많은 증거금을 낼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일부 대형 은행의 이 같은 마진콜 규모는 2020년 3월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팬데믹을 맞아 미국에 봉쇄령을 내리면서 증시가 폭락했던 때에 버금갈 정도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뉴욕 증시는 팬데믹 봉쇄 당시 폭락 이후 5년 만에 최악의 1주일을 보냈습니다. 한 주요 은행에서 헤지펀드들을 대상으로 한 대출을 담당하는 이른바 프라임 브로커리지 부문 간부는 "(국채)금리, 주식, 석유 모두 급격히 하락했다"면서 이런 금융 시장 폭락세 와중에 마진콜 역시 급증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이후로는 이렇게 시장이 요동친 것을 본 적이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모건스탠리 프라임 브로커리지 팀이 낸 주간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상호관세 충격이 본격적으로 시장을 덮친 지난 3일은 미 주식 헤지펀드들에 최악의 하루였습니다. 관련 통계를 추적하기 시작한 2016년 이후 최악이었습니다. 이들 헤지펀드가 보유한 종목들은 평균 2.6% 하락했습니다. 모건스탠리는 보고서에서 3일 헤지펀드 매도세는 역대 최악이었다면서 매도세가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투매, 2023년 미 지역은행 위기 당시 매도세와 견줄 정도였다고 설명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런 매도세로 미 주식 헤지펀드들이 은행에서 돈을 빌려 주식 투자에 나서는 정도를 나타내는 순 레버리지는 1년 반 만에 가장 낮은 약 42% 수준으로 추락했습니다.
자산 시장이 트럼프 관세전쟁 우려로 패닉에 빠져있는 가운데 금 가격 급락이 이런 마진콜 흐름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전통적인 안전자산인 금은 4일 가격이 2.9% 급락했습니다. 스탠다드차타드(SC)의 귀금속 담당 애널리스트 수키 쿠퍼는 헤지펀드들이 "마진콜을 맞추기 위해" 귀금속을 내다 팔면서 금 가격이 하락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어쩌다 이렇게' 4분기 성장률, 한국 37개국 중 29위
- 소주가 2000원?…식당 술값 역주행 '눈물의 할인'
- '매주 최고가' 강남3구·용·성…서초, 2012년이후 최대매매지수
- 로또 100억 ‘대박’ 터졌나…초대박 난 '로또 명당' 어딘지 보니
- "그건 착각이야"…백악관 "트럼프 통화, 협상 아냐"
- '여보, 배달비 아껴볼까' ' 공공 배달앱통합포털 "수수료 0∼2%"
- '없앨게요' 제주 10만원 갈치·비계 삼겹살·6개 2만5천원 순대
- 유럽 난민 '독일' 대신 '프랑스'로
- '승복 메세지는 없었다' 윤 전 대통령 "청년층 좌절 말라"
- 이러면 사망 위험 '뚝'…주말 이틀 '150분 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