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악의 한 해” 1년 내내 난리더니…기록 다 갈아치웠다 [지구, 뭐래?]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요즘 날씨 왜 이래?”
순식간에 더위와 추위를 오가는 날씨. 특정 기간에 몰아서 내리는 비와 눈. 잦은 강풍과 태풍으로 인한 자연재해까지.
지난해 특정 계절을 가리지 않고 이상기후 현상이 지속되며, 평균기온 등 각종 기상 기록을 갈아치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역대급 폭염을 동반한 이상고온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농작물, 가축 등 실질적인 피해가 늘었다. 그 어느 때보다 지구온난화의 부작용이 크게 나타난 해로 기록된 셈이다.
2일 기상청이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간한 ‘2024년 이상기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에 우리나라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더웠던 여름철 폭염에 이어 강수, 대설 등 각종 이상기후 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무엇보다 연중 내내 이상고온 현상이 지속됐다. 겨울철인 지난해 2월에는 서울, 강릉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2월 일평균 기온이 최대 16.4도까지 오르며,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이상고온으로 이른 봄 날씨가 나타난 셈이다.
봄에는 이른 여름 날씨가 펼쳐졌다. 4월 전국 평균기온은 14.9도로 평년(12.1도)과 비교해 2.8도가량 높아, 1973년 전국 기상관측이 시작된 이래로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영월 등 일부 지역에서는 최고 기온이 30도를 넘어서기도 했다.
실제 여름에 접어들자, ‘역대급 폭염’이 지속됐다. 6월부터 중국 북동부에서 더운 공기가 유입되며, 월평균 기온 21.4도로 역대 1위를 기록했다. 경주, 광주 등에서는 최고기온이 37도를 넘어서는 현상도 빚어졌다.
폭염일수는 24일로 평년(10.6일)에 비해 2.3배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열대야 일수도 20.2일로 역대 최다 수준을 기록했다. 제주 지역에서는 열대야가 최대 47일까지 지속됐다.
가을에 접어들어서도 더위는 꺾이지 않았다. 9월 평균 최저기온은 20도를 넘었다. 1973년 이래 9월 폭염이 발생한 것은 처음이었다. 가을철 전국 평균기온도 16.8도로 역대 1위를 기록하며, 평소보다 늦은 단풍을 볼 수 있었다.
뜨거워진 것은 지상뿐만 아니었다. 2024년 한반도 주변해역 이상고수온 발생 일수는 182.1일로 최근 10년(50.4일) 대비 3.6배가량 증가했다. 특히 무더위가 길어진 9월의 경우 27.3일로 최근 10년 대비 6.6배로 늘었다.
이상기후는 더위에만 한정되지 않았다. 시기에 맞지 않는 눈·비가 동반됐다. 지난해 2월 전국 강수량은 102.6㎜로 역대 3위를 기록할 정도로 많은 겨울비가 내렸다. 강수일수도 13.2일로 평년보다 7.1일가량 많아 역대 1위를 기록했다. 겨울철에 맞지 않는 호우특보가 발효되는 지역도 있었다.
가을철에 접어드는 9월에도 많은 비가 내렸다. 9월 전국 평균 강수량은 241㎜로 평년(155.1㎜) 대비 154.6%가량 증가했다. 특히 9월 20~21일에는 남해안을 중심으로 누적 강수량이 300㎜ 이상을 기록한 곳도 있었다.
늦가을인 11월 하순에는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대설이 내렸다. 서울, 인천, 수원 등 수도권에서는 11월 기준 하루에 가장 많은 눈이 쌓이기도 했다. 연중 더운 날씨로 인해 해수면 온도가 올라가면서, 수증기가 풍부한 눈구름이 발달했다는 게 기상청의 설명이다.
직접적인 피해를 동반한 태풍도 다수 발생했다. 2024년 가을철에는 총 15개의 태풍이 발생했다. 이는 평년(10.7개)과 비교해 4.1개 많은 수치다. 반면 여름에 발생한 태풍은 8개로 평년(11개)에 비해 적었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은 그중 2개에 그쳤다.
문제는 이상기후에 따른 피해 또한 각종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는 거다. 특히 날씨와 직결된 농업 부문의 피해가 컸다. 대설·한파, 일조량 부족, 우박, 집중호우, 이상고온 등 농업재해가 지속해서 반복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 폭염과 고온 현상으로 인해 인삼 등 농작물 재배면적 3477㏊의 피해가 발생했다. 7월에 발생한 호우로 9447㏊의 농작물 피해, 891㏊의 농경지 유실·매몰, 102만마리의 가축 피해가 발생했다.
해수면 온도 상승에 따른 양식장 어류 폐사 등 부작용도 이어졌다. 인천, 경기, 전북을 제외한 대부분 해역에서 여름철 고수온에 의해 양식생물의 대량 폐사 피해가 발생했다. 피해액 규모는 1430억원으로 2022년 17억원, 2023년 438억원과 비교해 크게 늘었다.
직접적인 건강 악화 사례도 늘었다. 지난해 여름철 온열질환자는 총 3704명으로 전년 대비 31.4% 늘어났다. 사망자는 34명에 달했다. 태풍·호우에 의한 인명피해는 총 6명, 재산피해는 총 3893억원이 발생했다. 대설에 의한 인명피해는 잠정 6명, 재산피해 4556억원으로 집계됐다.
기상청 관계자는 “2024년 우리나라는 연평균기온 역대 1위 경신, 기록적인 열대야, 장마철에 집중된 호우, 11월 대설을 경험했다”며 “전 지구 평균기온도 산업화 이전 대비 역대 최고로 1.5도가 상승해 기후위기를 실감했던 한 해“라고 말했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현무 “5월에 결혼한다”…상대는?
- 20대父, 2살 딸 울자…“나가 죽어” 걸레자루로 때렸는데 ‘집유’
- 김민재, 다시 풀타임…뮌헨, 아우크스부르크 격파
- “안희정, 성폭행 피해女에 지급해야”…‘확정’ 배상액 봤더니
- 김흥국, 尹파면에 분통…“국민 무시, 대한민국 갈라 놔”
- ‘좌이유’ 조롱은 일각…“아이유 선결제는 민주주의 향한 선한 용기”
- ‘MC몽’, 법인 명의로 강호동 가로수길 빌딩 샀다[초고가 주택 그들이 사는 세상]
- 뉴진스 측, “가정사를 어도어 분쟁에 악용하다니”…분열 일축
- “불에 탄 女시신 있어요” 신고 받고 출동했는데…알고 보니, 시신의 ‘깜짝’ 정체
- ‘백종원 급식소’서 앞치마 입은 BTS 진…산불 피해 지역서 배식 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