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사회인데···고령층, 청년보다 고용불안 더 느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와 국회가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노동 분야 문제를 '고용불안정'이라고 느낀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고용불안정이 심각하다고 느끼는 비율은 고용취약계층일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2일 일하는시민연구소·유니온센터가 올 2월 국민 1123명으로 실시한 노동정책 인식조사에 따르면 정부와 국회가 우선 해결해야할 노동정책으로 고용불안정이 1위(28.9%)로 꼽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용불안정>저임금>일·삶 불균형 順
정부와 국회가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노동 분야 문제를 ‘고용불안정’이라고 느낀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고용불안정이 심각하다고 느끼는 비율은 고용취약계층일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2일 일하는시민연구소·유니온센터가 올 2월 국민 1123명으로 실시한 노동정책 인식조사에 따르면 정부와 국회가 우선 해결해야할 노동정책으로 고용불안정이 1위(28.9%)로 꼽혔다. 이어 저임금(16.7%), 일과 삶 불균형(13.7%), 대기업과 중소기업 격차(9.5%) 순이다.
고용불안정은 연령이 높고 상대적으로 임금이 낮으며 고용 형태가 불안할수록 시급한 과제로 지목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고용불안정을 꼽은 비율은 비정규직군에서 35.5%로 정규직(23.8%)을 앞섰다. 연령별로 보면 19~34세 답변율은 22.7%였지만, 50~60세 답변율은 36.3%로 올랐다. 월 270만 원 미만 소득 답변율도 34.3%로 월 270만 원 이상(24.3%)을 웃돌았다.
김종진 일하는시민연구소 소장은 “정부와 국회는 사각지대 노동을 해소하고 정책 대상을 넓혀 보편적인 노동기본권과 사회보장제도를 수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양종곤 고용노동전문기자 ggm11@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미성년 교제 제대로 인정하라”…故김새론 친구 8명, 성명서 준비 중
- '배달음식 시켜 먹었다가 그만'…팔팔 끓여도 안 죽는 '이 식중독균' 비상
- 3점 12개에 52점…커리, 골든스테이트 3연승 견인
- '30년 내 '규모9' 난카이 대지진 가능성 80%…발생하면 30만명 죽는다'
- '알맹이 없어, 차라리 가만히 있어야'…현직 변호사가 본 김수현 눈물의 기자회견
- '어쩐지 머리가 계속 빠지더라니'…탈모 예방 제품, 모발 건강과 관련 없다?
- '방금 담배 피우셨죠? 4만원입니다'…길거리 간접흡연에 칼 뺀 '이 나라'
- '6개월 아기한테 뼈 있는 '스테이크'를?'…학대 논란 '아기 주도 이유식' 뭐길래
- '일본 놀러 가면 꼭 먹었는데'…유명 덮밥집, '쥐' 이어 '바퀴벌레' 나오자 결국
- “살이 더 이상 안 빠져” 다이어트 정체기 극복? 뇌를 속이는 게 핵심[헬시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