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맹 부수는 트럼프, 새로운 동맹 탄생시켜…'반미 연대' 꿈틀

이창규 기자 2025. 4. 2. 11: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하며서 냉전 종식 후 미국 중심으로 재편된 국제 질서가 흔들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27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유럽연합(EU)과 캐나다가 협력해 미국에 경제적 타격을 입힌다면 계획을 뛰어넘는 대규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엄포를 놓은 것을 그 예로 들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럽·캐나다 이어 한·중·일 등 아시아도 美관세에 공동 대응 나서
NYT "트럼프, 각국 연대 우려"…전문가 "동맹 잃은 美 위기시 누가 도와주겠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왼쪽)이 28일(현지시간) 백악관 대통령 집무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가운데) 및 JD 밴스 부통령과 언쟁을 벌이고 있다. 2025.2.28 ⓒ 로이터=뉴스1 ⓒ News1 강민경 기자

(서울=뉴스1) 이창규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하며서 냉전 종식 후 미국 중심으로 재편된 국제 질서가 흔들리고 있다. 방위비 증액 압박과 관세 부과, 영토 확장 의사 등으로 전통적인 동맹국과 갈등이 깊어지고 있어서다.

이러한 갈등은 그동안 미국에 대한 동맹국들의 신뢰를 떨어뜨리면서 연대를 통해 미국에 대응하려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1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이 겨냥한 국가들이 협력해 미국에 맞설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27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유럽연합(EU)과 캐나다가 협력해 미국에 경제적 타격을 입힌다면 계획을 뛰어넘는 대규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엄포를 놓은 것을 그 예로 들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최근 반미 감정이 고조되고 있는 유럽과 캐나다의 연대를 의식한 것으로 풀이했다.

유럽에선 트럼프 행정부가 유럽의 '안보 무임승차'를 비판하고 우크라이나 휴전 협상에서 유럽을 배제하면서 미국의 안보 보장에 대한 불신을 높아졌고, 자강론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아울러 관세에 대해서도 EU 차원의 보복대응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는 캐나다에 대해서도 관세 부과와 함께 '51번째 주가 돼라'고 하면서 캐나다 국민들의 자존심을 긁어 양국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지난달 30일 하노버 산업 박람회 개막 연설에서 "미국이 우리에게 선택권을 주지 않는다면 우리는 EU 차원에서 단합된 대응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숄츠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겨냥해 "캐나다는 다른 누구의 소유물도 아니며 자랑스러운 독립국"이라며 캐나다 편을 들기도 했다.

유럽과 북미뿐만 아니라 아시아 지역에서도 미국과의 관계에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NYT는 미국의 동맹국인 한국과 일본이 미국의 적대국인 중국과 미국 관세에 공동으로 대응하기로 뜻을 모은 것을 짚었다.

중국중앙TV(CCTV)가 운영하는 소셜미디어 채널 '위위안탄톈'은 지난달 31일 열린 '한일중 경제통상장관회의'에 대해 "중·일·한 3국은 미국의 상호관세 인상 등 행동이 글로벌 무역에 가져온 불확실성에 확실성으로 헤징(회피)해야 한다는 점, 이에 대해 3국(의 입장)이 모두 비교적 명확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중·일 3개국이 상호관세에 공동 대응하기로 한 것에 대한 질문을 받고 "걱정 안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NYT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가 방위 관계, 무역 상호 의존성, 유대감 등으로 80년간 유지되어 온 대서양, 태평양, 캐나다 동맹을 무너뜨릴 수 있다고 진단했다.

전문가들도 미국이 강력한 전력인 동맹을 잃고서도 세계 위기에 맞설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미국 기업연구소(AEI)의 국방·외교정책연구소장은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가 살아남고 번영한 이유는 공동의 가치와 무역 관계가 안보 공약을 뒷받침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자국 안보를 위해 동맹군이 필요한 상황이 올 때, 누가 도와줄 거라고 생각하나. 또 다른 9·11 사태가 터졌을 때 미국 정부의 이런 행동을 본 세계가 과연 미국에 공감해 줄까"라고 반문했다.

yellowapoll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