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건 중 1건, 15억 넘어”…토허제 해제 후 고가 아파트 거래 늘었다[부동산360]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강남 일부지역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및 재지정을 거치며 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 3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선도지역 아파트들이 매매 시장을 이끈 가운데 전체 거래 10건 중 3건 가까이가 15억원 초과 아파트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월 거래량 6141건…반년 만에 최대
[헤럴드경제=김희량 기자] 서울 강남 일부지역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및 재지정을 거치며 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 3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선도지역 아파트들이 매매 시장을 이끈 가운데 전체 거래 10건 중 3건 가까이가 15억원 초과 아파트로 나타났다.
3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신고된 서울 아파트 실거래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오세훈 서울시장이 시민과의 토론회에서 강남 토허제 해제 가능성을 언급한 1월14일 이후 이달 30일까지 약 두 달 반 동안 거래 신고된 아파트의 28.8%가 15억원을 초과한 가격이었다.
이는 직전 두 달 반(작년 11월1일∼올해 1월 13일) 동안 거래에서 15억 초과 비중이 24.3%였던 것에 비해 4.5%p(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특히 15억∼30억원 구간의 증가폭이 토허제 해제 언급 직전 19.0%에서 언급 이후 23.5%로 늘어났다. 9억 초과∼15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또한 같은 기간 27.4%에서 32.9%로 5.5%p 늘었다.
토허제 해제 호재로 강남권에서 시작된 거래 증가가 마용성·동작·영등포구 등 주변 인기 지역으로 확산하면서 전반적으로 거래가가 상승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실제 ‘잠삼대청’(잠실·삼성·대청·청담동)의 토허제가 풀린 지난달 13일부터 이달 30일까지 한 달 반 동안의 거래 비중은 15억원 초과가 29.7%로 30%에 근접했다.
조사 기간 100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 거래 건수도 토허제 언급 이전 3건에서 이후에는 7건으로 2배 이상이 됐다.
9억원 초과 비중은 51.7%에서 61.6%로 10%p 가까이 늘었다.
반면 9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은 토허제 언급 전 48.3%에서 언급 후에는 38.4%로 10%p 줄어들었다. 이 중 6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은 토허제 해제 언급 전후로 24.1%에서 16.3%로, 6억원 초과∼9억원 이하 비중은 24.2%에서 22.0%로 각각 줄었다.
실제 지난 2월 서울 아파트 거래은 고가아파트가 몰린 인기지역 위주로 발생했다.
30일 신고 기준 2월 서울 아파트 거래 건수는 총 6141건으로 지난해 8월(6531건) 이후 6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송파구(612건)·강남구(562건)·강동구(402건)·서초구(395건) 등 강남 4구의 거래량이 상위 1∼4위를 차지했다.
이어 성동구(395건)·노원구(356건)·마포구(337건)·영등포구(322건)·동작구(291건) 등의 순으로 거래량이 발생했다.
3월 들어서도 강남을 중심으로 한 거래 증가가 두드러진다.
현재까지 강남구(360건)·강동구(337건)·성동구(331건)·노원구(320건)·동작구(300건)·양천구(294건) 등의 순으로 거래 신고가 진행됐다. 서울 아파트 3월 거래량은 30일까지 신고분이 총 4751건으로 2월 거래량의 77.4% 수준이다.
이달 24일부터 토허제 대상이 강남3구와 용산구로 확대되며 거래가 주춤해졌지만, 3월 계약의 거래 신고일이 다음 달 말까지로 아직 한 달이 남은 것을 고려하면 3월 거래량은 2월을 크게 웃돌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이유 46억에 사들인 과천 건물, 7년 만에 10억 뛰었다
- [단독] ‘단역배우 자매 사망’ 어머니는 지옥을 산다…가해자에 눈덩이 손해배상 [세상&]
- 3만 관객 ‘바들바들’…지드래곤, 콘서트 73분 지연 사태 전말
- 故 설리 나체신 논란, 이정섭 감독 “나도 김수현 팬이었다”
- “묘지에 나뭇가지 태우다가” 경북 산불 실화 용의자 입건…혐의 부인
- ‘저속노화’ 정희원 교수가 매일 먹는다는 ‘이 밥’ [식탐]
- 리디아고, 연예인 뺨치는 자태, 패션모델로 등장
- “옷 다 벗고!”…고2 김새론에 보낸 김수현 문자 ‘시끌’
- [영상]“1분만에 수갑 채워 유학생 끌고갔다”…대낮 보스턴 한복판에서 무슨일?
- “싱크홀 때문에 딸 급식이 빵이라니”…女방송인 김경화, ‘비난 폭주’에 결국 사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