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너덜너덜… 이미래가 본 인류의 미래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영국 런던 테이트모던 터빈홀에서 대형 설치 작품 '열린 상처'를 공개해 주목받았던 이미래 작가의 첫 퍼포먼스 작품 '미래의 고향'이 28일 공개됐다.
이러한 퍼포먼스는 그간 작가가 쓰레기를 소재로 마치 고통스러운 듯 꿈틀거리게 표현한 작품을 통해 보여줬던 자기혐오와 연민을 배우들의 행동과 대사, 사운드 등을 통해 새로운 방식으로 풀어낸 것으로 해석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음악가 이민휘-배우 배선희 협업
“폐기물은 결국 모두 돌아갈 장소”
29일 다원공간은 비닐과 전선, 샤워기 헤드, 고무호스 등 각종 산업 폐기물을 엮어서 너덜너덜하게 매단 설치 작품으로 가득했다. 이렇게 폐기물을 묶거나 뭉치게 한 뒤 모터를 달아 움직이도록 하거나, 액체가 흐르게 만들어 기괴한 생명체처럼 보이도록 하는 것은 이 작가의 작품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요소다. 테이트모던 터빈홀에서 이 작가는 공중에 발전기를 매달고 쇠사슬을 돌아가게 한 다음 이 사슬 위에 벗겨진 피부처럼 보이는 분홍색 천 조각을 달았다. 이번 전시에선 작품이 움직이지 않는 대신 노을빛 같은 노란 조명을 비추고, 메탈 음악을 크게 틀어 폐허 같은 분위기를 연출했다.
퍼포먼스가 시작되자 조명이 흰색으로 바뀌고 전시장 속 쓰레기의 모습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작품이 매달린 배튼(batten·조명과 무대 장치를 다는 가로대)이 조금씩 움직일 때마다 다른 모습이 연출됐다. 배우 나경호가 무대로 나와 한편에 놓인 쓰레기들을 쓰다듬거나 던지고 두드리면서 “제비야 내 꿈 좀 버려줘”, “해석에 실패하고 싶다” 등 김승일 시 ‘버리는 제비’ 중 일부 구절을 절망스러운 목소리로 읊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쓰레기를 던지고 부수는 강도가 강해졌다.
반대편에서는 음악가 이민휘가 발전기가 달린 자전거를 타고 스피커를 작동시켰다. 이 스피커가 켜지면서 쓰레기들이 부딪치며 나는 소리가 흘러나왔다. 이 소리가 계속해서 나게 만들기 위해서는 자전거 페달을 끊임없이 밟아야 하기에 퍼포먼스 막바지에는 퍼포머가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퍼포먼스는 그간 작가가 쓰레기를 소재로 마치 고통스러운 듯 꿈틀거리게 표현한 작품을 통해 보여줬던 자기혐오와 연민을 배우들의 행동과 대사, 사운드 등을 통해 새로운 방식으로 풀어낸 것으로 해석된다.
설치 작품과 퍼포먼스가 보여주는 힘겨움과 고통의 이미지는 날카롭지만, 그 근원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궁금증이 남았다. 이 작가는 전시 서문에서 “폐기물은 우리가 꾸는 모든 꿈이 결국에는 돌아가게 될 장소”라며 “잔해의 이미지는 우리가 잊어버리려 몸부림치지만 언제나 바로 뒤에 바싹 붙어 있는 풍경”이라고 설명했다.
김민 기자 kimmi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불은 잡혔지만… 냉바닥 쪽잠 청하는 5581명
- [정용관 칼럼]“이러다 韓 대행이 尹 임기 다 채우겠다”
- 與도 野도 헌재 신속한 선고 촉구, 셈법은 따로
- [사설]美 “中 막으려 他 지역 위험 감수”… 주한미군 조정 압박 예고탄
- 늦어지는 尹선고에 與서도 “이번주 매듭지어야”
- 계엄후 첫 재보선… 기초단체장 5곳중 아산-김천-거제 ‘여야 대결’
- “지리산 지켰다” 천왕봉 4.5㎞앞 사투, 산청 213시간만에 주불 꺼
- “폭격맞은 전쟁터 같아” 관광도시 방콕 충격에…[르포]
- [횡설수설/신광영]쿠데타에, 내전에, 초강력 지진까지 덮친 미얀마
- 오늘 서울 출근길 체감 영하 1도… 꽃샘추위 다시 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