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약발 먹혔나… 3월 가계대출 증가폭 반토막

이주미 2025. 3. 30. 18: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달 가계대출 증가 폭이 전월 대비 반토막 수준으로 축소됐다.

다만 토지거래허가제 해제·재지정의 영향, 풍선효과 가능성이 본격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금융당국은 여전히 가계대출 추이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30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3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액(27일 기준)은 전월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이달 가계대출 추이에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및 재지정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토허제·풍선효과 가능성 염두
"1~2개월 더 동향 예의주시"
이달 가계대출 증가 폭이 전월 대비 반토막 수준으로 축소됐다. 다만 토지거래허가제 해제·재지정의 영향, 풍선효과 가능성이 본격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금융당국은 여전히 가계대출 추이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30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3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액(27일 기준)은 전월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월의 경우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이 4조3000억원 증가한 바 있다.

변동 폭이 큰 월말 영업일(28·31일)을 감안해도 이달 증가액이 2조원 안팎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금융당국이 한창 가계대출 관리를 강화했던 지난해 12월(2조원) 수준이다.

주요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세도 안정적 흐름을 보이고 있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27일 기준)은 738조332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2월 말(736억7519억원) 대비 1조5803억원 증가한 수치다. 전월 말 증가 폭에 비하면 반토막이다. 2월 말에는 1월 말과 비교해 무려 3조391억원 늘어난 바 있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증가세도 한층 더뎌졌다. 5대 은행의 3월 주담대 잔액은 전월 대비 1조4642억원 확대됐다. 3조3835억원 증가했던 2월과 비교하면 절반에도 못 미친다.

전월 가계대출 증가세를 자극했던 신학기·이사철 수요가 사라진 데다 당국과 은행권이 신규 대출 및 승인 추이 등을 지역별·월별로 촘촘히 관리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금융당국은 이달 가계대출 추이에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및 재지정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토지거래허가제 재지정 이후인) 지난주 가계대출 추이에서 특이한 동향이 나타나지 않았다"며 "토지거래허가 구역으로 지정된 서울 강남·서초·송파·용산구의 대출 승인 건수 등이 서울의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다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중순 토지거래허가제가 해제된 이후 집값이 급등하고, 거래량도 폭증했던 영향이 4월 이후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제기된다. 주택 거래와 가계대출 실행에는 1~2개월 시차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금융당국과 은행권은 다주택자·갭투자자와 관련 가계대출을 다시 조이는 추세다. 다주택자의 신규 주택담보대출 제한, 갭투자 방지를 위한 조건부 전세자금대출 제한 등을 강화한데 이어 추가 조치가 필요한지 등을 살피고 있다.

zoom@fnnews.com 이주미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