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진화(進化) 하는데… 진화(鎭火) 시스템은 제자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해마다 봄철 대형 산불이 되풀이되고 기후변화 등으로 위력은 더 세지는데도 산불 예방·대응시스템은 수십년 전과 바뀐 게 거의 없다.
정부는 대형 산불 대응 과정의 문제를 진단하고 개선하기 위해 2년 전 산불백서까지 만들었지만 실제적 개선 노력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는 평가다.
30일 산림청의 '2023년 봄철 전국동시다발 산불백서'에 따르면 산림당국은 2년 전 이미 산불진화헬기와 진화인력 부족을 대형산불 조기 진압의 최대 문제점으로 지목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번 영남 산불서도 문제점 그대로
전문가들 “대응체계 대대적 수술을”
백서는 “점차 대형화되고 동시다발화되는 산불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담수량 5000ℓ 이상 대형급 위주의 산불진화헬기를 확충해야 한다”며 “2023년 기준 동시다발 산불 하루 34건 대비 건당 최소 2대 이상, 12개 산림항공권역당 대형헬기 2대 이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야간산불에 대응 가능하도록 최신 항법장치, 자동조종장치 등이 탑재된 헬기 도입도 시급한 과제로 지목됐다.
산림청은 2023년 4월 기준 모두 48대의 헬기를 보유하고 있었다. 담수량 8000ℓ의 초대형헬기(S64) 7대와 담수량 3000ℓ의 대형헬기(KA-32) 29대, 2000ℓ의 중형헬기(KUH-1) 1대 등을 보유했는데, 2년이 지난 현재 2000ℓ의 중형헬기 2대 추가에 그쳤다.
산불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광역자치단체장들은 정부에 산불 대응 개선을 촉구하고 나섰다. 박완수 경남지사는 긴급상황 시 민간헬기가 사전허가 없이 즉각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개선과 함께 지리산과 맞닿은 남부권에 산불방지센터 건립을 건의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이재민 임시주거환경 대폭 개선 등을 주문했다. 이 지사는 “이제는 이재민대피소를 체육관 한 곳에 몰아넣는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면서 “정부에서 이재민 발생상황을 대비해 모듈주택 등을 마련, 보관하다가 재난이 발생하면 바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2022년부터 매년 담수량 1만ℓ급 초대형진화헬기 1대, 3000ℓ 2대씩 들여오기로 계약했다”며 “진화헬기는 계약하면 3년 후부터 들여올 수 있기 때문에 2022년에 계약한 1만ℓ헬기가 아직 들어오지 않은 것이고, 국내산인 수리온(3000ℓ) 2대는 지난해 도입했다”고 말했다.
대전=강은선 기자 groove@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냥 못 보겠다”…백종원, ‘90도 사과’ 뒤 곧장 달려간 이곳
- “보기 싫어!” 이재명 얼굴 친 이재민…지지자들, 기부 ‘취소’ 행렬
- 아빠 유전자 5% + 엄마 미모 몰빵…개그맨 오지헌 딸들 ‘믿기지 않는 외모’
- 전남편 15억 빚 갚는 중…61세 박해미 세 번째 결혼? 상대 누군가 했더니
- 방송서 속옷까지 벗었다... “정자 1억 개” ‘54세’ 男개그맨 정체
- “요즘 女공무원 너무 많아…산불 투입 어렵지” 울산시장 발언 논란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
- 예비신랑과 성관계 2번 만에 성병 감염…“지금도 손이 떨려”